한국경제를 위협하는 ‘뇌관’으로 거론되는 가계부채가 올 3분기에도 급증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은 24일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잠정치)이 1천166조37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은행이 가계신용 통계를 편제하기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 2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1천131조5천355억원)과 비교하면 3개월 새 34조5천19억원(3.0%) 늘어난 것이다.
1년 전인 작년 3분기 말 잔액(1천56조4천415억원)과 비교하면 109조5천959억원(10.4%) 급증했다.
가계신용은 가계 빚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통계다.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은 올 3분기 말 현재 1천102조6천억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30조6천원 늘어 가계신용 증가액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은 3분기에 14조3천원이 늘어 전분기의 감소세(-2천억원)에서 증가세로 전환됐다.
이중 부동산 경기 활황의 영향을 받는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이 11조5천억원으로 80%를 차지했다.
가계대출 외에 신용, 할부금융 등을 합친 판매신용 잔액은 63조4천억원으로 2분기 말보다 3조9천억원(6.6%) 급증했다.
3분기 기준으로는 가장 큰 증가 규모다.
판매신용 잔액은 올해 1분기 1조2천억원 감소했다가 2분기에 5천억원 늘어난 데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3분기 중 신용카드회사의 판매신용은 3조2천억원 늘었고 할부금융회사에선 8천원 증가했다.
그러나 백화점과 자동차회사 등의 판매신용은 1천억원이 줄었다.
신성욱 한국은행 금융통계팀 과장은 “3분기에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에서 벗어나고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등의 소비확대 대책으로 소비지출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용현기자 cyh3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