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택 30만 공급 ‘큰 그림’ 완성됐다

2019.05.07 21:14:00 3면

1·2차 이어 3차 공급 계획 확정
3기 신도시 5곳 경기도에 조성
서울 도심까지 30분 출퇴근거리
文정부, 친환경 도시 건설 약속

 

 

 

7일 정부의 고양 창릉동과 부천 대장동 등 3기 신도시 추가 발표로 ‘수도권 30만 가구 주택 공급’의 큰 그림이 모두 완성됐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9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수도권 택지에 30만 가구를 공급한다는 내용의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9월 1차(3만5천가구)에 이어 같은 해 12월 2차(15만5천가구) 발표까지 30만 예정 가구 가운데 19만 가구의 입지 등 공급 계획을 공개했다.

이날 발표는 나머지 11만 가구에 대한 3차 택지 계획이다.

고양 창릉과 부천 대장 등의 추가 발표로 남양주 왕숙(1천134㎡·6만6천가구), 하남 교산(649㎡·3만2천가구), 과천(155만㎡·7천가구),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 (335만㎡·1만7천가구) 등 3기 신도시 조성지역이 모두 확정됐다.

전체 3기 신도시 6곳 가운데 5곳이 경기도내에, 나머지 1곳은 인천에 조성된다.

이들 신도시에는 정부가 공급키로 한 30만가구의 절반이 넘는 18만가구가 공급된다.

정부는 3기 신도시 개발 방향으로 서울 도심까지 30분 내 출퇴근 가능 도시, 일자리를 만드는 도시, 자녀 키우기 좋고 친환경적인 도시, 지자체와 함께 만드는 도시 등을 제시한 바 있다.

GTX 이용하면 강남 30분 거리

고양 창릉

고양 창릉 신도시는 창릉동, 용두동, 화전동 일원이다.

가용면적의 40%인 135만㎡가 자족용지로 조성(판교제1테크노밸리의 2.7배)되며 권역별 중앙공원(6곳) 등 330만㎡의 규모의 공원·녹지 및 호수공원이 들어선다.

교통 대책으로는 고양 창릉 지구의 경우 새절역(6호선·서부선)부터 고양시청까지 14.5㎞ 길이의 고양선(가칭) 지하철이 신설되고, 화전역(경의중앙선)과 고양시청역 등 7개 지하철 신설역은 BRT(간선급행버스체계)로 연결된다.

일산 백석동부터 서울문산고속도로를 연결하는 4.8㎞ 자동차 전용도로도 새로 놓이고, 창릉지구와 제2자유로도 4차로로 이어질 예정이다.

교통 체계가 확충되면 여의도에서 25분(서부선 이용), 용산에서 25분(경의중앙선), 서울 강남에서 30분(GTX) 정도면 고양 창릉 지구로 접근할 수 있을 전망이다.

자족용지, 판교1TV의 1.4배

부천 대장

부천 대장 신도시는 대장동과 오정동, 원종동 일원으로 LH와 부천도시공사가 맡아 추진하며 판교제1테크노밸리의 1.4배 규모인 68만㎡의 자족용지가 조성된다.

부천시는 이곳에 지능형로봇, 첨단소재, 항공·드론 등 신산업을 집중 유치할 계획이다.

또 문화·생태 등 100만㎡ 규모의 공원 뿐 아니라 지구 서북측에 30만㎡ 규모의 멀티스포츠센터가 건립되며 자원순환센터는 지하화 및 리모델링해 체험학습장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교통 대책으로는 김포공항역(공항철도, 5·9호선, 대곡소사선)과 부천종합운동장역(7호선, 대곡소사선, GTX-B 예정)을 잇는 총 연장 17.3㎞의 S(슈퍼)-BRT가 설치되고, 청라 BRT를 S-BRT와 연계해 부천종합운동장역·김포공항역과 바로 연결하는 공사도 진행된다.

부천 대장 지구로부터 서울역까지 교통(S-BRT→GTX-B) 소요 시간은 30분, 여의도까지는 25분 정도가 될 것으로 국토부는 예상하고 있다.

경제·문화예술 중심도시로 조성

남양주 왕숙

남양주 신도시는 진접·진건읍, 양정동 일원인 ‘왕숙지구’로 왕숙1은 경제중심도시, 왕숙2는 문화예술중심도시로 조성된다.

GTX-B 노선 역, 진접선 풍양역이 신설되며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업그레이드 한 Super-BRT가 적용돼 지하도로나 교량 등의 교차로 구간에서 정지없이 이동가능해진다.

GTX-B 역을 중심으로 판교 제1테크노밸리의 2배 규모인 140만㎡ 자족용지에 도시첨단산단과 기업지원허브를 조성하며 왕숙천과 연계한 수변복합문화마을과 에너지자족마을이, 왕숙2에는 청년예술촌, 로스터리 카페거리 등 테마 문화거리가 각각 들어선다.

서울도시철도 3호선 연장 연결

하남 교산

하남 신도시는 천현동, 교산동, 춘궁동, 상·하사창동 등 일대 ‘교산지구’다.

서울도시철도 3호선 연장과 역사신설(지구내 2곳, 감일지구 1곳)이 추진되며 감일~상사창IC(5㎞)를 잇는 서울~양평고속도로도 우선 시공된다.

이 곳에도 판교 제1테크노밸리의 1.4배에 달하는 92만㎡ 규모의 자족용지를 조성해 자족용지내에는 기업지원허브를, 인근에는 청년창업주택 등을 배치하게 된다. 광주향교와 남한산성 등 문화재와 연계한 한옥마을, 백제문화 박물관, 역사문화공원과 탐방로도 조성된다.

선바위역에 복합환승센터 건립

과천

과천 신도시는 과천동과 주암동 일대가 택지로 지정되며 GTX-C 노선이 조속 추진되며 과천~우면산간 도로 지화화(2.7㎞)와 함께 왕복 4차로의 과천대로~헌릉로 연결도로(4㎞)가 신설된다.

과천~송파간 민자도로는 노선이 확장·변경되고, 4호선 및 광역버스와 연계한 선바위역 복합환승센터(자차장 500면 설치 등)도 조성된다.

과천신도시 가용면적의 47%인 36만㎡는 자족용지(지식정보타운 1.5배)로 조성되며 서울대공원, 국립과천과학관 등과 연계한 복합쇼핑테마파크, 양재천변 복합 친수공간 및 환경·창의교육형 물 순환테마파크도 들어선다.

자족용지 ⅔에 첨단산단 들어서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

인천 신도시는 계양구 귤현동, 동양동, 박촌동, 병방동, 상아동 일대 ‘계양 테크노벨리 지구’다.

인천 1호선 박촌역∼김포공항역 구간에서 정지 없이 이동하는 신교통형 전용 Super-BRT가 신설되고, 국도 39호선 벌말로 9㎞ 구간을 4차로에서 8차로로 확장되며 1㎞ 구간의 연계도로도 만들어 진다.

자족용지는 신도시내 가용면적의 49%인 90만㎡(판교 제1테크노밸리 1.4배)로 조성되며 자족용지의 3분의 2는 도시첨단산단으로 중복지정해 기업지원허브, 스타트업캠퍼스, 창업지원주택 등을 유치하게 된다.

/여원현기자 dudnjsgus1@

 

여원현 기자 dudnjsgus1@naver.com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