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분도(分道) 대선 공약?…이낙연 "경기북도 설치 지지한다"

2021.07.30 15:37:03

경기북부 인구 390만, 전국 3번째…독립 행정 요구 높아
李 "경기북도 설치 후 강원도 잇는 북부권 평화벨트 추진“
대선 공약에 담겨도 결정 여부는 주민투표 방식으로 진행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는 "상대적으로 낙후한 경기북부를 경기도에서 나눠 경기북도를 설치할 시기가 왔다"고 밝혔다.

 

이 전대표는 30일 의정부 경기도청 북부청사 평화광자에서 열린 '국가균형발전 및 경기북부 현안 좌담회'에서 "경기북도 설치를 향한 염원에 뜻을 같이 하겠다"고 이 같이 말했다.

 

1987년 최초 제기된 경기도 분도론은 34년이 지난 현재도 분도와 관련해 "시기상조다", "독립해야 한다"라는 엇갈린 입장이 첨예하다.

 

그러나 분도 논란이 지속되는 동안 경기 남부와 북부의 격차는 커졌고, 북부는 남부에 비해 낙후돼 갔다.

 

그런데도 역대 경기도지사들도 재정악화, 역사성 등을 이유로 경기분도에 회의적이었고, 이재명 경기도지사 역시 마찬가지다.

 

이 전 대표는 경기북도 설치가 필요한 것은 경기도의 균형발전을 이유로 들었다. 경기 북부 인구는 392만명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 세 번째지만 시군의 재정자립도는 북부지역 29.9%, 남부 45.3%로 15%p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또 인당 GDRP(지역내 총생산)도 남부는 3969만원인데 비해 북부는 2401만원으로 60% 수준으로 산업단지도 경기 남부는 166개인 반면 경기 북부는 54개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 전 대표는 경기북도를 설치해 인프라를 구축하면 첨단 산업 유치 가능성이 매우 높은 만큼 경기북도의 발전 수요는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전 대표는 경기북도가 새로 설치되면 강원도와 함께 평화경제 메가 시티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평화경제 메가시티를 추진하는 것이 강원도만 평화특별자치도로 두는 것보다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울·경, 대구·경북, 충청, 호남 등이 추진하는 메가시티 구상들도 입체적으로 추진해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 일자리 창출, 균형발전 등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북도 설치법안'을 발의한 김민철 의원(의정부 을)은 재정악화 우려에 대해 "1981년 경기도에서 분리된 인천시는 다음해 재정자립도가 5% 상승했다"며 "이후 14년간 재정자립도는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지금껏 경기도는 대권으로 가는 발판으로 인식돼 왔고, 그 피해는 북부지역이 감당해 왔다"며 "분도를 이뤄 독립된 행정으로 경기북부 주민들의 불이익과 불편을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영환 의원(의정부 갑)도 "경기북부는 국가안보와 국민안전을 위해 희생을 감당했지만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해야한다'는 달콤한 말만 계속했다"라며 분도에 반대하는 이 지사를 간접적으로 비판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경기북도 설치'는 이 전 대표의 대선 공약으로 담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분도 여부 결정 방식은 주민투표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이 전 대표는 "(경기북도 설치는) 결국 주민이 결정해야 하는 것"이라며 "주민 투표로 갈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태현 기자 ]

고태현 기자 thk0472@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