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에 바칠 목숨이 오직 하나밖에 없는 것만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
19세 나이로 세상을 떠난 독립운동가 유관순 열사의 순국 101주기를 맞았다.
1902년 12월 16일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태어난 유관순은 1919년 4월 1일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다. 당시 그의 나이 만 열여덟.
앞서 3월 1일 3·1운동을 시작으로 이화학당 친구들과 서울 학생단 시위운동에 참여했다가 경무총감부에 붙잡혔다 풀려나기도 했다.
4월 1일 아버지 유중권, 어머니 이소제 등과 함께 시위를 주도한 유관순은 그해 5월 9일 공주법원에서 5년형을 받았다. 그와 아우내 만세 주역들은 6월 경성복심법원에 항소했으며, 이후 서대문 감옥에 수감됐다.
옥중에서도 독립만세를 부르고 동료들을 격려하며 뜻을 굽히지 않았던 그는, 그렇게 조국의 자주독립을 외치면서 1920년 3월 1일 오후 2시 옥중 만세시위를 이끌기도 했다. 그리고 같은 해 9월 28일 모진 고문에 의한 방광 파열로 서대문 감옥에서 순국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사진 속 유관순 열사는 고문으로 인해 콧방울이 주저앉고 퉁퉁 부은 얼굴로 수감번호 371번이 선명히 찍힌 수의를 입은 모습이다.
1947년 유관순열사기념사업회가 결성됐으며, 1951년 순국의 열사 심사위원회에서 순국 열사로 선정됐다.
독립운동 공적으로 1962년 독립장을 추서 받은 유관순 열사는 2019년 3·1운동의 상징으로서 민족정기를 드높이고 국민통합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돼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가 수훈했다.
순국 101주기를 맞이한 28일, 유관순 열사의 고향인 천안에서는 추모제가 진행됐다. 천안시와 유관순열사기념사업회는 매년 추모제를 열고 유 열사의 넋을 위로하며 자유와 평화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는 10월 3일까지 천안시청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추모도 가능하다. 국민들은 “두려운 순간이 많았을 텐데도 본인을 희생한 정신이 존경스럽다”, “유관순 열사의 숭고한 헌신을 기억합니다” 등 추모글을 게재하고 있다.
박상돈 천안시장은 “자유와 평화를 위해 몸소 실천한 유관순 열사를 올바로 선양하고 고귀한 정신이 후대에 널리 계승되길 기원한다”고 전했다.
오늘 하루,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만세를 외친 유관순 열사를 추모하는 마음을 가져보면 어떨까 싶다.
[ 경기신문 = 신연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