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집값은…중개업소 63% "하락", 부동산 전문가 64% "상승"

2022.02.20 09:27:30 5면

KB금융 '부동산 보고서'…거품론에 "급락 가능성 낮아"
작년 전국 집값 15%↑ 19년래 최고…올해 1주택자 종부세 부담 현실로

 

 

지난해 전국 주택 가격이 15%나 뛰어 19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주택 시장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현장 부동산 경기를 체감하는 중개업소의 63%는 올해 집값 하락을 예상했지만, 건설·금융·학계 등 부동산 전문가의 64%는 반대로 상승을 점쳤다.

 

◇ "작년 집값 상승률, 2016∼2020년 5년간 상승률과 같아"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20일 발표한 'KB 부동산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전국 주택매매 가격은 15% 올라 연간 상승률이 2002년 이후 가장 높았다.

 

작년 한 해 상승 폭이 2016∼2020년 5년간의 오름폭과 맞먹는다는 게 연구소의 설명이다.

 

지역별 상승률은 인천(23.7%)이 1위였고, 경기(22.5%), 대전(17.0%), 서울(12.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는 노원(21.7%)·도봉(20.1%)·강북(16.9%)·양천(15.5%)·구로(15.4%)구 등에서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집값은 크게 뛰었지만, 지난해 주택거래량(약 101만5천호)은 전년보다 20.6% 줄었다.

 

전세가격의 경우 지난해 전국에서 9.4%, 수도권에서 11.3% 올랐다.

 

◇ 부동산 전문가 74% "올해 수도권 집값 상승"

 

연구소는 보고서에서 지난달 5∼11일 공인중개사 527명, 건설·시행·학계·금융 등 분야의 부동산 전문가 161명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도 공개했다.

 

올해 주택매매시장 전망을 묻자 공인중개사의 63%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수도권 중개사의 54%, 비수도권 중개사의 53%가 하락 전환을 예상했고 '3% 이내' 하락 폭을 예상한 중개사(38%)가 가장 많았다.

 

중개사들은 하락 요인으로 대출 규제, 매매 가격 부담, 매매 비용 증가 등을 꼽았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의 경우 64%가 올해 집값이 더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수도권 집값 상승을 예상한 전문가 비율이 74%에 이르렀고, 올해 수도권 상승률로는 33%가 '3% 이내'를 지목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집값 상승 전망의 근거로 공급 물량 부족(25%), 대선 이후 정책 변화(16%), 정부 규제 강화에 따른 매물 감소(14%) 등을 들었다.

 

◇ KB "집값 급락보다 완만한 조정 가능성 커"

 

아울러 연구소는 주택가격 급등에 따른 버블(거품) 논란을 점검한 결과, 버블 붕괴에 따른 집값 급락보다는 완만한 조정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연구소는 "외환위기 당시와 같은 충격이 없다면 급락 요인은 적은 것으로 보인다"며 "무엇보다 주택이라는 자산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높다는 점이 큰 이유"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서울과 수도권만 다소 완만한 조정이 있었고, 지방의 경우 오히려 2010년부터 장기 상승세에 진입하면서 '주택은 장기적으로 우량자산'이라는 믿음이 커졌다는 주장이다.

 

연구소는 "지금도 장기간 주택시장 상승으로 주택에 대한 신뢰가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급락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 "올해 고가 1주택 거주자 종부세 부담 수백만원 오르는 경우도"

 

연구소는 주택가격이 2019년 다소 진정됐다가 2020∼2021년 다시 오르면서, 1세대 1주택 보유 가구 중 고가 주택 거주 가구의 종합부동산세(이하 종부세) 부담도 현실이 됐다고 분석했다.

 

2015년 말 기준 12억5천만원이었던 강남구 E아파트 시세는 2019년말 16억1천만원, 2021년말 30억3천만원으로 급등했고 이에 따라 1주택자 기준 종부세(농어촌특별세 포함)가 2020년 295만원에서 2021년 709만원으로 400만원 이상 늘었다는 설명이다. 더구나 이 아파트의 올해 종부세는 1천21만원으로 작년보다 300만원 넘게 더 불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서초구 D아파트의 시세도 2015년말 9억8천만원에서 2019년말 17억9천만원, 2021년말 23억3천만원으로 뛰었다.

 

이에 따라 종부세 역시 2020년 103만원에서 지난해 158만원으로 50만원 이상 증가했고, 올해의 경우 250만원 가량 불어난 408만원에 이를 것으로 연구소는 전망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