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시민들 '우클릭'…"난 보수" 30.4%로 9.4%P 급증

2022.04.10 10:20:52

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보수 성향 비율, 진보 성향 추월
20대, '진보'가 '보수'보다 3배 이상 많아…젊은층 '탈진보' 경향도
현정부서 소수자 인식 오히려 악화…'이민자 배제' 2배 증가

 

스스로를 '보수'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자신을 '진보'라고 평가하는 사람의 비율을 5년만에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진보의 비율이 보수의 비율을 크게 앞질렀으나 지난 5년 사이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

 

성소수자나 이민자를 배제하는 사회분위기는 이른바 '진보' 정권인 문재인 정부에서 개선되지 못하거나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책연구원인 한국행정연구원은 이런 내용이 담긴 '2021년 사회통합실태조사'를 10일 공개했다.

 

사회통합실태조사는 우리 사회의 통합 수준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이 매년 실시하는 조사다. 케이스탯리서치가 주관해 작년 9~10월 전국 19세 이상 8천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가 담겼다. 조사는 면접조사를 원칙으로 하고 자기 기입 방식을 병행해 진행됐다.

 

◇ 보수 30.4%>진보 22.8%…文정부서 보수 9.4%P 급증, 진보 7.8%P 감소

 

조사 결과 자신의 이념 성향에 대해 보수적(매우 보수적+다소 보수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0.4%로 진보적(매우 진보적+다소 진보적)이라고 답한 응답자 22.8%보다 7.6%포인트(P) 많았다.

 

보수 성향이 진보 성향보다 많은 것은 지난 2016년 조사 때(보수 26.2%·진보 26.1%) 이후 처음이다.

 

진보 성향이라는 응답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30.6%를 기록한 이후 점차 줄어 2020년에는 26.8%였고, 반면 보수 성향은 2017년 21.0%에서 계속 증가해 2020년에는 25.7%를 기록했다.

 

자신을 중도라고 밝힌 응답자의 비율은 이번 조사에서 46.8%를 기록해 전년(47.6%)보다 소폭 줄었다. 중도 성향의 비율은 2013년(46.3%) 이후 40%대 후반을 기록하며 큰 변함이 없었다.

 

성별로 보면 스스로를 중도라고 답한 응답자는 여성(49.3%)이 남성(44.3%)보다 많았고, 진보라는 응답은 남성(25.1%)이 여성(20.5%)보다 많았다. 보수의 비율은 남성(30.6%)과 여성(30.2%)이 비슷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진보 성향이, 높을수록 보수 성향이 강했다. 진보와 보수의 비율은 20대 이하에서 각각 31.5%와 9.6%였고 30대에서는 26.9%와 18.1%를 기록했다. 40대 역시 진보가 30.3%로 보수 22.4%보다 높았다.

 

반면 50대는 보수가 35.6%로 진보 19.7%보다 높았고, 60세 이상은 보수가 49.9%로 진보 13.2%를 압도했다.

 

다만 4년 전인 2017년 조사 때에 비하면 젊은 층의 '탈진보' 경향은 뚜렷했다. 2017년 20대 이하의 진보와 보수 비율은 각각 36.4%와 10.5%, 30대는 40.0%와 9.8%였다.

 

그 사이 20대 이하에서 진보의 비율이 4.9%P, 30대에서는 13.1%P 감소한 것이다. 20대의 경우 보수의 비율도 0.9%P 감소하며 그만큼 중도층이 늘었고, 30대는 8.3%P 증가했다.

 

스스로를 진보라고 평가하는 사람의 비율은 가구소득이 높은 경우, 보수라고 평가한 비율은 가구소득이 낮을 때 많았다. '가난하면 진보, 부자는 보수'일 것이라는 통상적인 생각에 반하는 결과다.

 

보수와 진보의 비율은 월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에서 47.3%와 10.5%, 100만~200만원인 경우 51.5%와 12.0%였다. 반면 이런 비율은 500만~600만원인 가구와 600만원 이상 가구에서는 각각 23.6%와 25.6%, 25.7%와 25.8%로 조사됐다.

 

◇ "탈북자 못받아들여" 4년새 '14.3%→25.0%'…성소수자 배제 수준 '제자리'

 

북한이탈주민, 이민자 등을 배척하는 사회 분위기는 문재인 정부 들어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받아들일 수 없다'(배제)고 답한 비율은 이번 조사에서 25.0%를 기록해 전년(2020년) 조사 때의 18.3%보다 6.7%P 증가했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14.3%, 이듬해인 2018년 12.6%와 비교하면 10%P 이상 높다.

 

외국인 이민자와 노동자를 배제하는 인식은 이번 조사에서 12.9%를 기록해 전년 조사의 9.9%보다 3.0%P 늘었다. 2017년 5.7%의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성소수자에 대한 배제 인식도 문재인 정부에서 개선되지 못했다. '성소수자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은 작년 54.1%를 기록해 전년 57.0%, 2017년 57.2%보다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문 정부 2년 차인 2018년의 49.0%와 비교하면 오히려 5.1%P 늘었다.

 

성소수자, 북한 이탈주민, 외국인 이민자·노동자를 자녀의 배우자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은 각각 87.8%, 68.2%, 60.4%를 기록했다.

 

사회적 갈등의 원인으로는 '빈부격차'를 꼽은 답변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였다.

 

사회적 갈등의 원인을 빈부격차로 본 응답자는 25.4%로 2019년과 2020년 조사 때의 18.3%와 22.1%보다 늘었다.

 

'이해 당사자들의 각자 이익 추구', '개인, 집단 간 가치관 차이'라는 대답은 각각 21.6%, 21.3%를 차지했다.

 

응답자들은 국가가 추구해야 할 가치로 '분배'(37.4%)를 '성장'(26.7%)보다 더 많이 꼽았다. '분배와 성장이 모두 중요하다'는 응답은 35.9%였다. 이 조사가 시작된 2013년 이후 분배라는 답변이 성장이라는 응답보다 더 많았던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분배라는 응답과 성장이라는 응답은 2018년 13.7%와 21.5%, 2019년 25.9%와 30.6%, 2020년 23.9%와 27.4% 등이었다. 2020년까지 성장을 분배의 우선순위로 보는 답변이 많았다가 이번 조사에서 순서가 바뀌었다.

 

응답자들은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수준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10점 만점 중 평균 6.2점을 줬다. 2018년(5.6점)보다 0.6점 높았다. 정치, 경제 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5.5점을 받아 각각 4.4점과 4.1점이던 2018년보다 향상됐다.

 

한편, 응답자의 15.3%는 감염병 등 재난상황으로 인해 소득 감소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집세 상승으로 이사를 경험한 응답자는 6.8%였고, 학비 마련을 위해 돈을 빌린 응답자는 5.0%, 병원비 부담으로 진료를 받지 못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4.5%였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