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쌍방울 그룹으로부터 수억 원대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가운데 당시 그가 추진했던 대북 사업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 전 부지사는 2017년 쌍방울 사외이사로 근무한 뒤에도 2018년 도 평화부지사와 2020년 킨텍스 대표로 근무하며 쌍방울로부터 법인카드를 받아 개인 용도로 사용한 혐의로 지난 28일 구속됐다.
이 부지사는 이밖에도 차량 3대를 제공받는 등 3억 원이 넘는 불법 자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이 전 부지사가 쌍방울 측으로부터 대북사업 추진 대가로 뇌물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2019년 중국 선양에서 쌍방울이 북측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및 민족경제협력연합회 등과 경제협력 사업 관련 합의서를 작성하는데 이 전 부지사가 함께 했던 것으로 검찰은 판단하고 있다.
합의서에는 지하자원‧관광지 개발사업, 철도사업 등을 공동 추진하기로 약정하고 쌍방울이 1억 달러 상당을 지원하는 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 합의로 쌍방울 계열사는 북한 희토류 등 광물 사업권을 약정 받았고, 그 직후 계열사 주식은 급등했다.

아울러 이 전 부지사가 2018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평양냉면집인 ‘옥류관’ 직영점을 고양 일산에 유치하려 했던 내용도 수사망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그는 당시 도가 주최한 ‘아시아·태평양의 평화·번영을 위한 국제대회’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에 북측의 옥류관을 유치하기 위해 남북 관련 관계자들이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며 “현지의 식재료와 현지인들이 와야 된다고 한다”고 말했다.
옥류관 유치는 결국 불발됐지만, 이 사업이 정부와 북한 당국 등 허가를 거치지 않고 민간단체인 아태평화교류협회(아태협)를 통해 추진됐다는 것이 알려지며 문제가 불거졌다.
여기에 아태협이 도와 공동 주최한 아시아·태평양의 평화·번영을 위한 국제대회 비용을 쌍방울이 우회 지원했다는 의혹까지 얽혀 있는 상황이다.
검찰은 이밖에도 이 전 부지사가 추진한 다른 대북 사업의 위법성 등도 들여다보고 있다.
아울러 이 전 부지사가 대북 사업을 벌였던 시기 경기도지사를 역임한 민주당 이 대표가 이 전 부지사와 쌍방울 간 유착 관계를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수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경기신문 = 강현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