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미뤄준 대출 37조원…빚 폭탄 우려에 비상 체계 가동

2023.05.09 11:03:52 5면

9월, 코로나19 금융 지원 종료
잠재 부실 현실화 우려
선제적 충당금 적립·연착륙 프로그램 운영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상환을 미뤄준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37조 원 가까이 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9월 대출 지원책이 종료되면 잠재 부실이 수면 위로 떠오르며 건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9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대출 만기연장과 원리금 및 이자 상환유예 조치를 취한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건수는 지난 4일 기준 25만 9594건이다. 대출 잔액은 36조 6206억 원에 이른다. 이 가운데 만기연장 액수는 34조 8135억 원이며 대출 원금·이자의 상환이 유예된 액수는 각각 1조 5309억 원, 2762억 원으로 집계됐다.

 

앞서 금융당국은 코로나 확산으로 어려움에 처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지난 2020년 4월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 및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에 나선 바 있다. 당초 2020년 9월말까지 6개월만 시행하려고 했던 코로나 대출 지원 조치는 예상보다 코로나 확산이 장기화하면서 지금까지 5차례 연장됐다. 해당 지원책은 올 9월 종료될 예정이다.

 

금융 지원이 재연장되지 않는다면 해당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오는 9월부터 대출을 갚기 시작해야 한다. 하지만 경기 둔화로 가계와 기업의 상환 능력이 약해져 있는 데다 이미 금융권 대출 연체율은 오르기 시작해 잠재부실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9월 코로나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연장과 연착륙 지원방안을 내놨다. 그동안 이뤄진 대출 만기연장을 금융권 자율협약에 따라 최장 3년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환유예의 경우 최장 1년간 더 미뤄줬다.

 

금융지주와 개별 은행들도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늘리고 별도의 대책안을 수립하는 등 건전성 관리에 매진하는 모습이다. 5대 금융지주가 공시한 1분기 실적에 따르면 이들 금융사는 전년 동기 대비 155.6% 많은 총 2조 270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이밖에도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내부 조직인 ‘금융시장·실물경제 복합위기 비상 대응 협의체’를 구성해 위험 취약 부문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중소기업의 대출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고정금리로 대환해주고, 원금 상환이나 이자 납부가 어려워 연체가 발생하는 기업의 정상화를 위해 올해 말까지 모든 중소기업의 연체 가산금리를 2%p 인하하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월 ‘리스크 관리 태스크포스팀(TFT)’ 조직을 신설해 취약 대출자의 연착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우리은행은 소상공인 생활안정자금 5000억 원 긴급대출과 연체이자 납입액 상당의 연체원금 상환을 지원하고 있다. 또 신용보증재단을 통해 1조 5000억 원 규모의 금융지원과 신규보증서 대출 첫 달 이자 전액을 감면한다. 또 대출금리 1%p를 감면하는 '안심고정금리 특별대출'을 출시하는 등 총 610억 원 상당의 금융비용 절감을 추진 중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 금융 지원 조치를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언젠가는 끝이 날 것이므로 종료 이후 대출의 건전성을 미리 관리해야 한다”며 “부실 가능성이 높은 대출자를 찾아내는 등 대책을 계속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고현솔 기자 sol@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