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가 뉴스의 중심에 섰다. 대통령실이 지난 5일 한전이 전기료와 통합 징수해 온 ’KBS 수신료를 분리 징수하도록 법령을 개정하라‘고 방송통신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에 권고하자, 사흘 뒤 김의철 KBS 사장이 ’수신료 분리징수가 철회되면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발표했다.
대통령실 발표가 있자, 조선일보는 ‘KBS 수신료, 전기료와 분리 징수한다’고 확정된 것처럼 보도했다. ‘수신료는 사실상 국민세금···국민 불편 호소 반영’이라는 대통령실 입장만을 부각시켰다. 중앙은 ‘대통령실 KBS 수신료 분리징수 권고···개혁 신호탄?’이란 스트레이트 기사와 ‘대통령실 “KBS 수신료 통합징수, 국민 찬성 0.5%뿐”'이라는 제목으로 해설기사를 내보냈다. 두 신문은 분리징수가 ’개혁‘인지 ’개악‘인지에 대한 검증은 없었다.
동아는 ’대통령실 “KBS 수신료, 전기료와 분리징수를‘이란 제목으로 보도해 가치판단을 배제했다. 권고를 반영한 제목이었다. 해설기사도 대통령실이 제시한 국민 97%가 분리 징수를 찬성한다는 주장과 공영방송의 근간을 훼손한다는 KBS 입장을 균형 있게 반영했다.
한국·경향·한겨레는 첫 번째 사설로 KBS 수입의 45%를 차지하는 수신료 분리징수의 문제점, 중복참여도 막지 않은 허술한 여론조사를 질타했다. 한겨레는 해설기사에서 한상혁 방통위원장 축출에 이어 KBS 길들이기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기자 출신 강승규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이 수신료 분리징수의 근거로 내세운 조사내용은 방법론상 데이터로 활용할 수준이 아니었다. 국민제안심사위원회가 지난 3월 9일부터 4월 9일까지 한달 동안 대통령실 국민제안 홈페이지를 통해 투표를 진행한 결과였다. 투표자의 97%가 통합징수방식 개선에 찬성했다 했다. 댓글 자유토론도 수신료 폐지(65%)하거나 분리징수(31.5%)를 합쳐 96.5%였고, 현행유지 0.5%에 그쳤다. 민주국가라면 있을 수 없는 조사결과였다. 기자라면 의문을 갖고 추적해야 했다. 그럼에도 조선과 중앙은 어떤 이의제기도 하지 않았다.
김의철 KBS 사장의 기자회견을 전하는 중앙의 보도 방식 역시 문제였다. ’수신료 분리징수를 철회를 놓고 사장 사퇴와 딜하자는 김의철‘이라고 몰아붙였다. ’딜‘이라는 표현 뿐 아니라 사장 직함까지 뺐다. 해설기사는 궤변 수준이었다. 도표를 활용, ’한전이 거두고 KBS가 가져가는 TV 수신료‘라고 했다. 2022년 TV수신료는 6934억 원 중 KBS가 6272억 원(90.2%), EBS가 194억 원(2.8%), 한전이 468억 원(6.8%)의 수수료를 가져갔다.
한전의 지난해 영업손실에 비하면 467억은 수입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썼다. 돈도 아니라는 말이다. 또 1일 평균 111건, 15분에 1건이 민원이 접수된다고도 했다. 민원이 폭주하는 것처럼 묘사했다. 한전은 전국 256개 본부와 지사를 두고 있다. 한 지사에 이틀에 1회꼴이 안 되는 민원이다. 기자가 아닌 여론조작 기술자나 자행할 수 있는 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