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도시지역에서 농업 활동을 하는 도시농업 참여자가 50만 명 이상인 가운데, 이를 지원해 지속가능한 토양 탄소, 공동체 활성화, 최소한의 식량자급 등을 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경기도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Ⅱ: 제도 발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도 도시농업 현황은 텃밭 면적이 258만 9000㎡ 규모며, 참여자는 약 51만 3000명이다.
도연구원은 수도권 일원에서 활동하는 도시농업경력 10년 이상 전문가 45명에게 도 도시농업의 향후 과제 등을 물었다.
이들은 현장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목적·가치로 56%는 공동체, 24%는 친환경, 16%는 도농 상생을 각각 응답했다.
도시농업 친환경 실천에 대한 평가를 보면 ‘아주 잘됨’ 11%, ‘잘되는 편’ 53% 등 긍정적 답변이 64%에 달했다.
또 지역 공동체 활성화 평가도 ‘아주 잘됨 9%’, 잘되는 편‘ 27% 등 긍정 평가가 36%로 나타났다.
반면 거버넌스 활성화 평가는 긍정적 답변이 17%, 도농 상생 평가는 13%, 일자리 창출 평가는 4%에 불과했다.
이에 도연구원은 ▲독일 안더나흐의 ‘식용도시 (edible city)’처럼 아무나 심고 아무나 수확할 수 있는 (가칭)‘아심아수 도시’ 운동 전개 ▲도시농업공원 토양 탄소 등 다양한 모델 개발을 도시농업 활성화 전략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도시농업 거버넌스 활성화 및 전국도시농업협의회 등 중간 지원조직 역할 강화, 시민사회 활동 적극지원 ▲도 장기 탄소중립도시 비전, 도시농업의 지속 관심·투자 등도 언급했다.
이양주 도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도시농업은 그동안 많은 농지 투기로 농지 세제 등 각종 제도가 엄격한 상황”이라며 “도 통합조례 제정, 도시농업 공간에 대한 특례법 등으로 도시 내 농지를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도시농업이란 도시에서 발생하는 모든 농업 활동을 의미한다.
도시지역 자투리 공간(옥상, 베란다, 골목길, 시민농장)을 활용한 여가·체험적 농사가 대표적으로, 생계·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농촌 농업과는 구별된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이근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