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23경기도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결과 발표'..."자녀양육 등 새 정책 필요"

2024.03.13 17:52:38 10면

경기도 다문화가족 정책 수립 기초자료 마련하고자 2131명 대상 실태조사
다문화 가구 전국 지자체에서 가장 많고 결혼 이민자의 거주 장기화 경향 두드러져
김영혜 선임연구위원 “다문화가족의 장기정착에 따라 가족 및 자녀양육문제, 고용안정 등 새 정책 필요”

경기도 다문화가족의 장기청작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자녀양육문제, 고용안정, 노후 준비 등 이에 맞는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2023년 경기도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보고서를 발표하고 새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문화 가족 혼인 기간과 한국 거주기간이 15년 이상인 집단은 각각 29.1%와 32.6%를 기록해 결혼 이민자의 거주 장기화 경향이 두드러졌다.

 

앞서 통계청은 작년 경기도의 다문화 혼인은 전체 혼인의 9.3%를 차지하고 다문화 가구는 12만 2458가구(30.7%)로 전국 지자체에서 가장 많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번 연구는 경기도 다문화가족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됐으며 재단은 2131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구조사, 결혼이민자조사, 배우자조사 등 3종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다문화가구의 평균 자녀 수는 1.14명으로 저출생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에서 조사된 전국 다문화가구 평균 자녀수 0.88명에 비하면 경기도가 더 높은 수준이다. 경기도 다문화가구에서 1명의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 42.3%, 2명 양육 가구 28.8%다.

 

다문화 가구 수뿐만 아니라, 다문화 가족 형성도 변화했다. 타인의 소개 없이 직접(31.6%) 만나 결혼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친구 선후배 소개(29.85%), 친척 소개(20.1%) 순이었으며, 결혼중개 업체(9.1%)를 통한 경우는 10% 미만이었다.

 

다문화 가구 수가 늘어남에 따라 다문화 가구가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언어 문제, 양육비 부담이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미취학 자녀는 한국어를 직접 가르칠 수 없는 어려움(20.9%)이 가장 컸고, 초등, 중등, 고등학생 연령대 자녀는 모두 사교육비 부담(각각 25.5%, 36.3%, 47.1%), 초기 성인기 자녀는 용돈 부담(39.4%)이 컸다.

 

결혼이민자 조사에서 초기 성인기 자녀가 있는 결혼이민자 중 그 자녀가 따돌림당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3.0%였다. 따돌림의 이유는 부모 중 한 사람이 외국 출신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자의 거주 장기화에 따라 고용률은 안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고용률은 57.3%로 전체 경기도 여성(53.3%)보다 높은 수준이나 고용상태는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근로자 비율이 35.5%로 경기도 전체 여성(61.3%)보다 현저하게 낮았고, 임시근로자는 31.0%로 경기도 전체 여성(22.6%)에 비해 높았으며, 일용근로자도 21.2%로 경기도 전체 여성(4.1%)보다 높았다. 지난 1년간 사회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결혼이민자는 54.1%로 조사됐다. 15년 이상 장기거주자의 참여경험은 오히려 낮았다.

 

결혼이민자의 사회활동의 종류는 한정적이어서, 문화, 취미, 학습활동(51.1%)이 많았고, 부녀회, 마을자치 활동, 주민자치회 등 지역주민 활동(6.7%)을 한다는 응답은 미미했다.

 

 

결혼이민자의 노후 문제도 제기됐다. 결혼이민자의 거주가 장기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43.6%는 노후를 위해 아무런 대비를 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이는 경기도민의 노후 대비를 하고 있지 않다는 비율(31.4%)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여성결혼이민자(44.5%)는 남성결혼이민자(33.1%)보다 노후 대비를 하지 않는 비율이 더욱 높았다.

 

다문화가족들이 한국생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언어였다. 외국출신 특성상 언어 어려움(24.3%)를 가장 많이 호소했고, 모국에 대한 그리움(18.4%), 문화차이(14.7%), 경제적 어려움(10.3%), 편견과 차별(10.1%) 이 뒤를 이었다.

 

이에 대해 결혼이민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부분도 한국어 교육이었다. 결혼이민자 대상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참여도, 필요도도 조사한 결과, 인지도는 한국어 교육(92.0%), 한국문화 체험 및 교육(73.8%) 순으로 높았다.

 

서비스 참여도도 한국어 교육(70.7%), 한국문화 체험 및 교육(40.6%) 순이었다.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한국어 교육이 5점 만점에 4.32점으로 가장 높고, 취업을 위한 교육과 취업 상담, 알선(4.23점), 자녀의 학습 및 교육지원 서비스(4.18점)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족 배우자들이 희망하는 가족 관련 서비스로 자녀 양육 관련 상담 및 교육(40.7%)이 가장 많았다. 희망하는 자녀 양육 및 교육 관련 서비스는 방과후 돌봄 서비스(29.4%), 아이돌보미 서비스(13.4%), 어린이집(8.0%), 그리고 학교부적응 위기청소년 지원(4.2%) 순이었다.

 

 

김영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조사에서는 지역의 결혼이민자의 장기정착 경향에 따라 변화하는 생활실태와 정책수요를 알 수 있었다”며 “다문화가족의 장기정착에 따라 새롭게 발생하는 가족 및 자녀양육 문제, 고용안정, 노후 준비와 정책수요를 바탕으로 향후 경기도 다문화가족 정책이 새롭게 수립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위 기사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 경기신문 = 고륜형 기자 ]

고륜형 기자 krh0830@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