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만에 연극 무대 오르는 황정민, '맥베스'... 영화'서울의 봄' 전두광과 닮은 꼴

2024.05.16 09:58:14 10면

황정민 “맥베스는 함축적인 작품, 꼭 해보고 싶었던 작품”
양정웅 연출 “정통에 가깝게 극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현대적 미장셴으로 만들 예정”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마지막 작품인 ‘맥베스’가 양정웅 연출의 손에서 다시 태어났다. 맥베스 역엔 2년 만에 연극 무대에 복귀한 황정민이 출연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10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린 ‘맥베스’ 제작 발표회에서 양정웅 연출은 “‘맥베스’는 개인적으로는 20년 만에 새롭게 도전한 작품”이라며 “이번에 황정민 배우와 김소진 배우, 송일국 배우와 함께 셰익스피어의 아름다운 대사와 정통에 가까운 완성도 높은 극으로 맥베스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현대적인 미장센과 함께 멋있게 만들어 볼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맥베스’는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하나로 범죄를 저지른 뒤 죄책감에 빠진 주인공 맥베스가 공포와 절망 속에 갇혀 죄에 죄를 더하며 파멸해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충신이었던 맥베스가 마녀들의 예언에 현혹돼 아내의 부추김으로 던컨 왕을 살해한 이후 자신의 왕권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인물들을 제거하는 이야기다.

 

맥베스 역엔 황정민, 멕베스의 부인이자 멕베스의 욕망을 부추기는 인물 레이디 멕베스 역엔 김소진, 맥베스의 욕망에 목숨을 위협받고 사투를 벌이는 인물 뱅코우 역엔 송일국이 출연한다.

 

 

배우 황정민은 '맥베스'에 대해 “한 마을의 영주에 불과했던 인물이 '왕이 된다'는 예언에 현혹돼 그 탐욕의 끝을 가는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많은 분들이 맥베스라는 작품을 오마주 했고, 재창작해 공연을 올렸던 만큼 많은 것을 함축하고 있는 작품”이라며 “우리 후대들이 해석하고 공부할 거리가 너무 많아 당연히 맥베스를 한 번 해보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또 타이틀 롤(주연)을 맡는 점에 대해 “타이틀 롤은 늘 부담이 있지만 중요한 것은 연극을 할 때 오히려 개인적으로는 힐링하는 시간과 공간이기에 너무너무 행복한 시간”이라며 “관객들을 빨리 만나고 싶은 이유 중 하나는 연극무대의 '기분좋음'이 있기 때문에 타이틀 롤로서의 부담이 덜 하다”라고 열정을 내비쳤다.

 

 

 레이디 맥베스 역을 맡은 김소진 배우는 “‘레이디 맥베스’는 남편인 맥베스가 왕이 되기를 간절히 욕망하는 인물로 맥베스가 가진 욕망 또한 옆에서 일깨우고 부추기는 사람”이라며 “인간다움이라는 것을 저버리고 자신의 욕망을 쟁취하기 위해 행동에 오는 불안, 두려움, 죄책감 등을 관객분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그려보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뱅코우 역을 맡은 송일국 배우는 “맥베스 대사 중에 뱅코우를 설명하는 대사가 있다. ‘고귀한 기품은 타고났고 대담한 데다 절대 꺾이지 않는 기개를 지녔다’라는 대사에 뱅코우에 대한 설명이 다 들어있다고 생각한다”며 “어떻게 뱅코우를 표현해야 할지 고민이다. 일단 살부터 열심히 빼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무대 연출에 대해 양정웅 연출은 “무대는 늘 상징적인 개념들을 표현하고 있는데, 여기서도 역시 상징적이면서도 은유를 할 수 있는 맥베스 만의 욕망의 폐허, 욕망 창고의 현대적인 분위기돠 그런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최근 스크린 흥행작 ‘서울의 봄’의 전두광을 연기한 황정민 배우는 “아마 ('서울의 봄'을 연출한) 김성수 감독 역시 ('전두광'의 캐릭터에 대해) 끝없이 욕망을 추구하는 맥베스를 떠올리지 않았나 싶다”며 “‘맥베스’가 공부를 해왔던 저희도 마찬가지지만 감독님들에게도 좋은 레퍼런스가 되는 기본적인 백과사전 같은 작품이라 더 좋아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견해를 밝혔다.

 

연극 ‘맥베스’는 7월13일부터 8월18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된다.

 

[ 경기신문 = 고륜형 기자 ]

고륜형 기자 krh0830@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