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동탄경찰서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찰 1인당 담당 인구를 기록하며 수사력 한계에 직면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동탄 납치살인’과 ‘화성 헬스장 무고 성추행’ 사건을 제대로 막지 못해 신뢰 위기를 겪는 가운데, 단순 징계가 아닌 인력 충원과 구조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1일 경찰 등에 따르면 화성동탄경찰서가 관할하는 화성시 동부 일대, 이른바 동탄 신도시는 평균 연령이 약 36세로 비교적 젊은 층이 많이 거주한다. 이 때문에 스토킹과 교제폭력, 성범죄, 학교폭력 등 ‘여성청소년과’가 담당하는 사건이 꾸준히 접수되고 있다.
문제는 인구 규모에 비해 경찰 인력이 극히 부족하다는 점이다. 화성동탄서 경찰관 수는 지난해 9월 기준 475명에 불과한 반면, 관할 인구는 60만 명을 넘어섰다. 경찰관 1인당 시민 1300명을 담당하는 꼴로, 이는 서울 평균 306명, 경기도 전체 평균 546명과 비교해도 월등히 높은 수치다. 전국에서 가장 열악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동탄 신도시의 성장세를 감안하면 인구는 올해 안에 70만 명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부족한 경찰력으로는 치안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결국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경찰 활동 자체에 공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 화성동탄서는 지난해 6월 발생한 ‘화성 헬스장 무고 성추행 사건’과 지난 5월 사실혼 관계 남성에게 폭행을 당해온 여성이 반복된 신고에도 적절히 보호받지 못하고 결국 사망에 이른 ‘동탄 납치살인사건’으로 비판을 받았다. 두 사건 모두 경찰의 대응 부족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이어지며 조직 쇄신 요구가 거세졌다.
한 경찰 관계자는 “시민들의 신뢰를 무너뜨린 경찰의 잘못은 당연히 반성하고 조치해야 한다”면서도 “화성동탄서가 고의로 잘못을 저지른 것이라기보다는 과도한 치안 수요와 업무량에 치여 대응이 미흡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경찰 관계자는 “동탄뿐 아니라 도시 규모가 급격히 커지는 지역 경찰서들은 이미 업무량 과부하를 호소하고 있다”며 “사건 하나하나에 면밀한 수사와 조치를 위해서는 인력 충원과 적절한 배치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남부경찰청 관계자는 “현재 화성동탄서를 포함해 전국 모든 경찰서에 대한 인력 재배치 계획이 진행 중”이라며 “단기간에 해결되긴 어렵지만 시민 안전을 위해 최선의 결과가 나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