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공원과 수봉공원 일대는 데칼코마니다.
일직선으로 서로를 바라보고 있는 두 공원. 따개비를 닮은 건물들이 능선을 따라 다닥다닥 붙어있다. 중간에 삐죽 튀어나오는 일이 없다.
수십 년째 닿을 수 있는 하늘 높이는 묶여 있어서다.
나날이 들어서는 아파트들로 주변은 높아져만 가는데, 이곳만 그대로다. 높은 건물을 짓기 어려워 지역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건물은 낡고 사람들은 계속 떠난다. 그만큼 여기선 원도심 활성화는 통하지 않는 얘기일 뿐이다.
이에 주민들은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중구 자유공원과 월미공원 일대는 경관 보호를 위해 1984년 고도지구로 지정됐다. 이후 이 일대에는 각종 도시계획 규제가 중복적으로 적용됐다.
이들 지역 중 ▲개항기 근대건축물 밀집지역 47만㎡에는 지구단위계획, 고도지구, 역사문화특화경관지구,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자유공원 주변지역 60만㎡에는 지구단위계획, 고도지구 ▲월미지구 35만㎡에는 지구단위계획, 고도지구 등의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미추홀구 수봉공원 고도지구는 수봉공원의 경관을 보호하고자 1984년 최초 지정됐다.
1997년·2007년·2016년 세 차례에 걸쳐 조금씩 완화됐으나, 사업성을 따지기엔 아직 부족해 빈집만 방치되고 있다.
반면 바로 옆은 개발 소식이 연이어 들려온다.
지난해 7월 ‘인천역 복합개발사업’이 국토교통부의 도시혁신구역 선도 사업 후보지로 선정됐고, 10월에는 ‘동인천역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절차를 완료했다.
‘제물포역 북측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은 같은 해 12월 승인·고시됐다. 총 3497세대를 공급할 예정으로, 2031년 준공을 목표하고 있다.
일단 인천시는 고도제한 완화에 팔을 걷었다.
최근 ‘수봉 고도지구 정비 용역’을 발주했다. 고도지구 높이 관리기준을 재검토해 합리적인 높이 관리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구상이다.
당초 올해 말까지 검토방안을 마련하려 했으나, 앞선 두 차례 유찰로 일정이 살짝 밀렸다. 이번 재공고를 통해 현재 적격 심사를 진행 중이며, 늦어도 다음 달 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다.
시는 제물포르네상스 규제 완화 실무 전담반도 꾸렸다. 자유·월미공원 일대 규제 완화는 제물포르네상스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다.
지난해 착수한 ‘자유·월미공원 일원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은 현재 멈췄다. 협의가 길어지면서 용역 기간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높이 계획을 결정하는 단계라 환경적인 부분은 한강유역환경청이랑 협의를 봐야 하는데 아직 거기까지는 못 갔다”며 “올해 하반기에는 한강유역환경청과 합의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