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지난 1일 1차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중소기업 정책자금 5000억 원을 추가로 확보, 미국 관세 조치 등에 따른 대내외 불확실성 대응력 제고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추가 확보한 예산은 ▲통상 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1000억 원 ▲긴급 경영 안정자금 3000억 원 ▲신시장 진출 지원자금 1000억 원이다.
중진공은 미국이 관세를 부과한 품목 관련 업종을 영위하거나 미국에 수출하는 비중이 높은 기업 중 경영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을 폭넓게 지원하기 위해 통상 리스크 대응 긴급자금을 신설하여 1천억원을 마련했다. 한시 긴급자금임을 감안해 운전자금 상환 기간을 1년 연장해 6년으로 운영하며 1년 추가 만기연장이 가능하다. 대출금리는 중소기업 정책자금 기준금리(25년 2분기 중소기업 정책자금 기준금리 3.15%) 대비 0.3%p 낮은 금리를 적용한다.
또한, 경영 애로 중소기업을 두텁게 지원하기 위해 긴급 경영 안정자금을 3000억 원 증액했으며, 기업 당 최대 10억 원 한도로 지원한다. 특히 보호무역 피해와 환율피해 사유 해당 기업은 기존의 매출액 또는 영업이익 10% 감소 조건을 완화해 경영 애로 규모에 관계없이 폭넓게 지원한다.
중소기업이 신시장 개척과 수출국가 다변화를 모색할 수 있도록 신시장 진출 지원자금도 1천억원 증액했다. 운전자금 최대 10억 원, 시설자금은 최대 30억 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으며, 대출금리는 정책자금 기준금리를 적용한다. 신규 국가로 수출실적을 보유하거나 수출계획이 있는 수출국 다변화에 해당하는 기업은 지원요건을 완화해 최근 5년 이내 정책자금을 3회 이상 지원받았더라도 제한 없이 신청 가능하다.
추경 자금 지원을 희망하는 기업은 16일까지 3일간 중진공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전국 34개 중진공 지역본(지)부 또는 정책자금 안내 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강석진 중진공 이사장은 “변동성이 큰 미국의 관세정책에 중소기업이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자금의 적시 지원이 필요한 시기”라며 “앞으로도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정책 지원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자 중소벤처기업연수원장은 “어려운 시기이므로 추경뿐만 아니라, 직원 역량 강화가 필요한 기업 대상으로 맞춤 연수를 적극 지원하겠다”며 “연수원이 운영 중인 ‘찾아가는 맞춤 연수’에 관심 있는 기업들의 많은 신청을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준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