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이 학생 수에 따라 유연하게 공간을 운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미래학교 모델을 만든다.
22일 도교육청은 학령인구 감소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하이브리드 미래학교 설계모델'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하이브리드 미래학교 설계모델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유연한 철골 유닛 구조를 결합한 복합형으로 학생 수 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진화형 학교'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내구성이 중요한 일반교실, 특별교실, 체육관, 식당 등 필수 학습 공간에 적용되며 철골 유닛 구조는 18학급 규모의 창의융합형 학습 공간으로 구성한다.
학급 수가 감소한 학교에서 철거된 철골 유닛은 수요가 필요한 학교로 재배치되는 방식이다. 철거 부지는 소공연장, 광장형 공간, 휴게 공간, 학교 숲, 야외 수업 공간 등 복합 소통 공간으로 탄생한다. 도교육청은 학교가 철거 부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등 지원할 계획이다.
하이브리드 미래학교 설계모델은 공사 기간이 기존 철근 콘크리트 방식보다 1.5개월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영구 건축물 수준의 안정성과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설계지침서를 전문가와 면밀히 검토할 예정이다.
또 교육수요 변화에 다라 공간이 순환되고 재활용되며 장기적으로 생애주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나타난다.
도교육청은 2028년도 개교 예정인 평택, 김포, 시흥 등 일부 학교에 시범 적용할 9가지 배치 유형을 개발해 각 학교 부지 여건에 따라 최적의 설계를 적용할 방침이다.
도교육청은 "하이브리드 미래학교 설계모델이 비용 절감, 환경 문제,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하이브리드 미래학교 설계모델이 성공적으로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