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디지털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도입된 지 한 학기가 지났다. 종이책을 넘어선 '미래형 수업'을 예고했지만 교과서 지위를 박탈 당할 위기에 놓이며 교육 현장에서도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3월 AI 디지털 교과서는 전국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대상 영어·수학·정보 과목에 도입됐다.
AI 디지털 교과서는 당초 모든 학교 의무 도입될 예정이었으나 전면 도입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으며 학교 자율 도입으로 변경된 바 있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 학기 약 40%의 학교가 일부 학년 일부 과목에 AI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해 활용했다.
4학년 영어 과목에 AI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원 A초등학교 관리자급 교사는 "경기도의 경우 AI 디지털 교과서와 교수학습 플랫폼 '하이러닝'이 연계돼 있어 교사들이 수업에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AI 디지털 교과서가 퇴출 수순에 놓이며 2학기에도 AI 디지털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업을 구성해야 할지 딜레마에 빠진 상황"이라며 "AI 디지털 교과서 선도교사도 2명이나 신청한 상태여서 방향 설정에 혼란이 있다"고 토로했다.
지난 2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는 AI 디지털 교과서의 지위를 교육자료로 변경하는 법안이 전체회의를 통과한 상황이다. 해당 법안은 24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될 예정이었으나 내달 4일로 일정이 연기됐다.
AI 디지털 교과서가 사실상 폐기 수순을 밟고 있는 가운데 교과서 지위 보존을 두고 교육계 의견은 첨예하게 갈리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 28일 전국 초·중·고 교원 34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학교현장 실태조사'를 통해 현장 교사 10명 중 8명은 AI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교과서로서의 지위를 보장해야 민감한 학생 정보 관리와 콘텐츠 질 보장 등 관리가 용이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수원 지역의 교사 B씨(34)는 "AI 디지털 교과서가 교과서 지위를 잃고 교육자료로 격하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2학기를 앞두고 혼란을 겪는 학교 현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