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는 ‘광주역세권 상업·산업 용지 복합개발 사업’의 공공성과 사업 안정성 강화를 위해 국토교통부 PF조정위원회 조정 절차에 착수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조정은 복합개발 시행자가 사업계획 변경을 요청함에 따라 이뤄지게 됐다.
시는 도시계획 변경을 위한 사전 협상, 법률 자문, 토지소유자(GH·광주시·광주도시관리공사) 간 협의를 거쳐 행정 절차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행정·법률적 위험 요소와 일부 소유자의 동의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사업 일정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시는 복합환승센터 조성을 중심으로 한 공익형 사업계획을 수립, 국토부 PF조정위원회를 통한 조정을 통해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추진할 계획이다.
복합환승센터는~광주선, GTX-D, 경강선이 연결되는 ‘트리플 역세권’인 TOD(Traffic-Oriented Development) 개념의 입체적 환승 기반시설로 추진된다.
광주역로·포은대로·광주역을 통합형 환승 터미널, 환승주차장, 대합실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시는 복합개발 시행자에게 복합환승센터 구상을 반영한 사업계획 수립을 요청하고 조정안은 시민 체감도 향상을 위한 공공기여 확대도 함께 담길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본격 착공 전까지 유휴부지를 시민 편익 공간으로 임시 활용할 방침이다.
유휴부지 환경정비와 공영주차장 조성을 통해 도시미관 개선과 범죄 예방은 물론, 경강선 이용 시민의 환승 편의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이번 사업 일정 조정은 단순한 지연이 아닌, 광주역세권 개발의 공공성과 실행력을 확보할 결정”이라며 “투명하고 책임 있는 행정으로 동남부의 핵심 교통·경제 거점 광주역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태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