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에서 당대표 결선에 진출한 김문수·장동혁 후보는 이구동성으로 강력한 대여 투쟁을 강조하지만 의미가 다른 ‘내부 단결’과 ‘단일대오’를 각각 주장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탄반(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파’인 두 후보는 여당에서 ‘극우’와 ‘윤어게인’이라는 비난을 받는 공통점이 있지만 결선 진출에 실패한 ‘탄찬(탄핵 찬성)파’ 안철수(성남분당갑)·조경태 후보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전 한국사 강사인 전한길 씨와의 관계 등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김 후보는 이날 결선진출 후보로 발표된 뒤 인사말을 통해 “전당대회 기간 내내 단결을 외쳤다”며 “범죄자 이재명 독재정권을 막는 의병이 돼 달라. 107명 의원과 500만 당원이 합심해 국민과 함께 싸우자”고 호소했다.
특히 “날마다 우리 동지들이 압수수색 당하고 있다. 이재명 독재정권은 국민의힘을 해산시키려 하고 있다”면서 “이런 엄중한 때 우리끼리 분열하면 되겠느냐”며 단합을 강조했다.
김 후보는 특검의 중앙당 압수수색 저지를 위해 10일째 무기한 농성을 이어갔다.
이에 비해 장 후보는 “이제 한 번의 선택만이 남아 있다”며 “낡은 투쟁 방법을 선택할 것인지 새로운 투쟁 방법을 선택할 것인지, 분열을 안고 갈 것인지, 내부총질자를 정리하고 단일대오로 갈 것인지 그 선택이 남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내부총질하면서 당의 전투력을 떨어뜨리는 분들을 통합이라는 애매한 말로 계속 끌고 가겠다고 하면서 어떤 결단도 하지 못했기 때문에 108명의 숫자를 가지고 탄핵을 막아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내부총질한 자들을 다 품자는 막연한 통합이 아니라 한 방향을 보고 함께 갈 수 있는 사람들끼리 모여 있는 단일대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그는 지난 19일 4명의 당대표 후보가 참여한 가운데 열린 마지막 TV토론에서 ‘재보궐 선거에 후보를 공천한다면 한 전 대표와 전 씨 중 누구를 공천하겠느냐’는 질문에 ‘전 씨’를 택했다.
그는 “전 씨는 탄핵 때부터 우리 당을 위해 열심히 싸워온 분”이라며 “지금도 민주당과 이재명 정권과 열심히 싸우고 있다. 열심히 싸워온 분에게는 공천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친한(친한동훈) 김종혁 고양병 당협위원장은 SNS에 “긴 말 필요없네요. 극우만세”라고 직격했다.
장 후보는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시절 사무총장, 한 대표 체제 때는 최고위원으로 활동한 친한(친한동훈)계 핵심이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탄핵 찬성 입장을 밝힌 한 전 대표에게 반발해 최고위원직을 사퇴하면서 정치적으로 갈라섰다.
반면 김 후보는 이준석 전 대표든 한동훈 전 대표든 다 안고 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 경기신문 = 김재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