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선 8기 경제의 대전환, 시민생활의 대전환을 실현하고 있는 수원시가 역세권 복합개발을 통해 관내 22개 콤팩트시티를 조성하며 공간 대전환하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17일 이재준 수원시장은 이날 오전 '수원형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 브리핑을 개최했다. 이어 "기초지방정부 최초로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22개 역세권 특성에 맞춰 복합개발 사업 모델을 만들겠다"며 구체적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수원형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은 개통이 확정된 22개 역세권에서 진행되며 관내 22개의 '콤팩트시티'(압축도시) 조성을 목표로 한다.
현재 관내 전철역은 14개인데 신분당선 광교~호매실 건설사업,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경기남부광역철도 등 광역 철도망 구축 사업이 완료되면 22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 시장은 이번 사업의 용도 복합화, 기능 집적화, 기반 시설 확보 등 3대 전략을 밝혔다. 먼저 역세권 신축 건축물은 업무·주거·상업·문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도록 권장한다. 또 기능 집적화로 거주·업무·생활서비스 등을 도보 15분 거리에서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기반 시설이 부족한 역세권은 체계적으로 정비해 시설을 충분히 확보할 방침이다.
9개 역세권, 70만 평을 전략지구로 설정하고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에는 9개 전략지구에서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을 시작해 2030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사업 유형은 도심복합형, 일자리형, 생활밀착형으로 나뉜다. 그 예로 도심복합형에 해당하는 영통역 일원은 업무·문화·상업 시설이 어우러진 도심형 복합업무 지구가 조성될 예정이다. 일자리형인 성균관대역 일원에는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수원R&D사이언스파크와 연계된 혁신캠퍼스 지구가 조성된다. 생활밀착형에 해당하는 고색역에는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 및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이 조성된다.
시는 역세권 복합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민간과 공공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사업 시행자가 토지면적가치의 15%에 해당하는 기반 시설이나 공공건축물을 기부채납하면 용적률을 100% 상향한다.
이와 함께 건축 연면적의 일정 비율을 지역 활성화 시설로 확보하면 200% 상향되며 관광숙박시설 등 시 정책과 부합하는 시설 확보 시 용도지역 상향과 함께 용적률을 최대 300%까지 완화한다.
22개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이 완료되면 도심 개발 용지 약 462만 8000㎡(140만 평)을 확보, 3만 명의 인구 유입과 7만 평 규모의 생활SOC가 공급될 것으로 시는 내다봤다. 전체 경제적 효과는 30조 원이며 고용효과는 25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 시장은 "공간대전환의 핵심이 될 역세권 복합개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세계가 주목하는 역세권 콤팩트 시티의 모델을 만들 것"이라며 "시민께서 '수원이 정말 살기 좋아졌다'고 체감하도록 '일신월성'하는 수원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