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주요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복을 검색하면 중국 전통의상 ‘한푸’가 함께 노출되는 사례가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2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추석을 앞두고 다수의 누리꾼이 온라인 쇼핑몰 제보를 보내왔다”며 “일부 사이트에서 ‘중국 스타일 한복’이라는 이름으로 한푸를 판매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중국풍 의상을 판매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한복과 한푸는 분명히 다른 의상”이라며 “두 전통복식을 명확히 구분해 소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대형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플랫폼만 제공하는 경우가 많지만, 꾸준히 모니터링을 통해 이런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에서 이런 상황이 발생할 경우 중국 측에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며 “실제로 중국 누리꾼들은 ‘한복이 한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다”고 우려했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 백과사전은 한복을 ‘조선족 복식’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과거 샤오미는 스마트폰 배경화면에서 한복을 ‘중국문화’로 소개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서 교수는 “한복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에서 발생한 오류를 바로잡는 일 역시 필수적”이라며 “문제가 발견된 온라인 쇼핑몰들은 한복과 한푸를 반드시 분리해 판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안규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