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심리 위축과 고물가 여파로 주류 시장의 중심이 다시 국산맥주와 소주로 돌아섰다.
코로나19 이후 ‘홈술’·‘혼술’ 트렌드로 와인이 강세를 보였지만, 불황이 장기화되며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저가 주류가 다시 소비를 주도하는 모습이다.
7일 대형마트 3사(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주류 매출 비중은 국산맥주가 24.0~27.6%로 1위를 기록했다.
이마트의 주류 매출 구성을 보면 국산맥주(24%), 와인(22%), 양주(19%), 소주(17%), 수입맥주(12%), 전통주(5%), 무알코올맥주(1%) 순으로 나타났다.
국산맥주는 전통적으로 대형마트 주류 매출의 주력 품목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홈술’ 문화가 확산되면서 와인이 1위를 차지한 적도 있다. 특히 2022년과 2023년에는 이마트와 롯데마트 모두 와인이 주류 매출 1위였다.
하지만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지속되면서 와인 수요는 둔화되고, 작년부터 국산맥주가 다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2019년 이후 폭발적으로 성장했던 와인 시장이 2022년 하반기부터 위스키, 믹솔로지(칵테일형 주류), 저도수 술로 관심이 옮겨갔다”며 “외식비 부담이 커지면서 집에서 가볍게 마실 수 있는 국산맥주와 소주 판매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판매 수량 기준으로는 소주가 가장 많이 팔린 주류로 집계됐다. 뒤이어 수입맥주·국산맥주·전통주·와인·무알코올맥주·양주 순이었다.
한편 MZ세대를 중심으로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문화가 확산하면서 화이트와인·스파클링 와인·논알코올맥주 등 가벼운 주류 소비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마트에 따르면 2022년 와인 매출 중 레드 와인 비중은 68%였지만, 올해 1~9월에는 62%로 낮아지고 화이트·스파클링 와인 비중은 38%로 증가했다.
또한 이마트와 롯데마트의 논알코올맥주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