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경기가 코로나 팬데믹보다 더한 침체에 빠지면서 중소 건설업의 부실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병덕(민주·안양동안갑) 의원이 신용보증기금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중소 건설업 부실금액은 2021년 814억원에서 지난해 1727억원으로 3년 새 212%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에 발생한 대출 상환 부담이 본격화된 데다, 고금리와 건설 원가 상승이 장기화되면서 중소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신용보증기금이 중소 건설기업의 대출을 대신 상환한 대위변제액 역시 같은 기간 크게 증가했다.
2021년 790억원이던 대위변제액은 지난해 1685억원으로 213% 증가했다.
이 같은 수치는 중소 건설업체의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로, 현장에서는 공사 지연과 연쇄 부도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면 건설업 중소기업에 대한 신규보증 지원은 급감했다.
2021년 7484억원이던 신용보증 금액은 지난해 5664억원으로 같은 기간 1820억원(24.3%) 감소했다.
이에 따라 보증 지원은 줄고 상환 부담을 치솟는 이중고가 이어지면서, 건설경기가 단순한 경기 둔화를 넘어 사실상 침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민병덕 의원은 “코로나 엔데믹을 선언한 지 오래지만, 고금리 장기화와 건설 원가 폭등이 겹치면서 사실상 팬데믹보다 더한 구조적 침체기에 접어든 상황”이라며 “정부는 기업 회생과 산업 생태계 복원을 함께 이끌 수 있는 종합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경기신문 = 송경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