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카드 고객 297만 명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조좌진 대표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한다. 사고 이후 사과와 보안 강화 대책을 내놨지만, 실효성 논란이 커지면서 책임 공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9일 국회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외부 해킹으로 시작됐지만, 내부 통제 실패가 본질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유출된 정보 중 약 28만 명은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CVC까지 포함돼 부정 사용 위험이 직접적으로 제기됐다.
롯데카드는 사고 직후 사과문과 함께 향후 5년간 1100억 원 규모의 보안 강화 계획을 발표했지만, 이미 유출된 정보는 회수가 불가능하고, 과거에도 보안 취약점 경고가 반복됐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대응의 진정성과 속도 모두 논란에 올랐다.
이번 국감의 핵심 쟁점은 ▲조 대표가 사고를 언제 인지하고 어떤 조치를 했는지 ▲보안 체계 취약을 방치한 책임 범위 ▲발표된 대책이 실질적 재발 방지에 충분한지 등 세 가지다. 국회는 이번 사건을 단순 해킹이 아닌 금융 소비자 보호 실패로 규정하며, 경영 책임 규명을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고는 이미 발생했고 피해자들은 위험에 노출된 상태”라며 “국감에서도 책임 규명이 명확히 이뤄지지 않으면 조 대표의 리더십 회복은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 경기신문 = 공혜린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