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아파트 시장이 다시 꿈틀대고 있다. 서울을 중심으로 나타난 신고가 거래 증가세가 수도권으로 확산되며, 특히 강남 접근성이 높은 과천·분당·하남 등을 중심으로 가격 회복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정부가 최근 단행한 10·15 규제지역 조정은 이런 상승 압력을 조기 차단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 주요 지역의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이 9월 들어 크게 늘었다. 과천은 신고가 거래 비중이 57%로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성남 분당구(43%), 하남(11%)이 뒤를 이었다.
과천과 분당은 서울 강남과 인접한 핵심 생활권으로, 강남권 가격 회복세가 외곽으로 확산되는 첫 관문으로 꼽힌다. 실제로 분당의 주요 단지에서는 상반기 대비 1억~2억원가량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다.
서울 도심 접근성이 양호한 성남 수정구(21%), 중원구(23%), 의왕(5%), 안양 동안구(9%) 등지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서울발 매수세가 경기 남부권으로 옮겨가는 전형적인 ‘확산 국면’”이라고 분석한다.
반면 용인 수지(8%), 수원 장안(8%), 팔달(6%), 광명(7%) 등 중간권 지역은 완만한 상승세에 그쳤다. 경기 북부나 외곽 지역은 여전히 한 자릿수 비중에 머물러 회복세가 제한적인 모습이다.
직방은 “서울 핵심지를 중심으로 회복된 가격 상단이 수도권으로 전이되는 흐름이 뚜렷하다”며 “특히 과천·분당·하남 등 강남 접근성이 높은 지역은 실수요와 투자수요가 동시에 몰리면서 신고가 거래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10·15 대책은 이런 수도권 확산세를 조기 차단하기 위한 안정 조치로 해석된다. 정부는 강남권과 한강벨트뿐 아니라 경기 남부 주요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재편하며 과열 신호를 사전에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이번 규제지역 조정은 단순한 가격 억제가 아니라 거래 흐름, 수요 이동 경로, 심리 확산 가능성까지 고려한 결과로 보인다”며 “과천·분당처럼 실수요와 투자수요가 동시에 유입되는 지역의 확산세를 막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단기적으로는 대책 발표 이후 거래량이 잠시 줄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이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선택적 회복’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의 공급 계획과 정책 일관성이 향후 시장 안정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