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5일부터 실손의료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가 시행되며, 의원과 약국에서도 보험금 청구가 전산으로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병원급 의료기관 중심으로만 청구가 이뤄졌지만, 이제 외래 진료와 약국 이용자도 간편하게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됐다.
2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생·손보협회 등과 함께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시스템(실손24)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요양기관의 실손24 연계율은 1단계(병원급·보건소) 54.8%, 2단계(의원·약국) 6.9%로 전체 10만 4000여개 요양기관 중 약 1만 920개(10.4%)가 참여하고 있다.
연계 기관에는 신용보증기금 보증료 감면, 일반보험 할인 등 인센티브가 주어지며 EMR 업체가 확대되면 연계율도 점진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 누구나 실손24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청구 전산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은 ‘제3자 청구’나 ‘나의 자녀청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또 오는 11월부터는 네이버, 토스 등 플랫폼을 통해서도 실손24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앱 설치 없이 보험사 조회부터 보험금 청구까지 모든 과정을 플랫폼 내에서 처리할 수 있으며, 플랫폼을 통한 청구 건에는 포인트 캐시백 등 혜택이 제공된다. 보험개발원은 네이버페이 3000원 지급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 경기신문 = 공혜린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