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한미동맹의 ‘플레이메이커’ 역할을 통해 한미 협력의 ‘3P(피스메이커·페이스메이커·플레이메이커)’ 라인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현지시간 29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싱크탱크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도는 한미 동맹의 미래를 위한 핵심 연결고리이자 추진력”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불과 몇 시간 전 이재명 대통력과 트럼프 대통령이 APEC이 열리는 경주에서 경제, 안보, 전략 현안에 대한 돌파구적 협의에 이르러 양국 관계가 공고해진 모습을 우리 모두 목격했다”며 “이런 배경 속에서 도의 역할을 강조하고 싶다”고 했다.
그는 “지난 8월 한미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흥미로운 제안을 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피스메이커’, 이 대통령은 ‘페이스메이커’로 지원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여기에 저는 한 가지 더 덧붙이고 싶다”며 “바로 도와 제기 ‘플레이메이커’가 되어 한미 양국 당국과 협력해 목표를 성공으로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도를 믿어 달라. 그리고 저를 믿어 달라”며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그리고 플레이메이커라는 ‘3P’ 라인을 완성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플레이메이커로 도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도와 미국 간 통상 관계를 들어 설명했다.
김 지사는 “저는 임기 말까지 도에 100조 원(750억 달러 상당)의 투자를 유치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어제 보스턴에서 체결한 협정으로 이 임무는 예정보다 앞당겨 완수됐다”고 말했다.
이어 “100조 원 중 총 39건의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를 유치했는데 이 중 16건이 미국계 기업 또는 계열사로부터 유치된 것”이라며 “전체 외국인 투자 절반 이상이 미국계 기업”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도에 본사를 둔 한국의 첨단 기술 대기업들도 미국 전역에 천문학적인 투자를 진행 중”이라며 “애리조나의 LG, 텍사스의 삼성, 인디애나의 SK하이닉스는 반도체, 모빌리티, 배터리 분야에서 수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지사는 “도에서 이루어지는 이런 양방향 투자통상 흐름은 한미 간 파트너십에 매우 중요하다”며 “경제와 안보는 한미동맹에서 동전의 양면과 같다. 양국 경제가 더 깊이 연결될수록 평화는 더욱 공고해진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는 도와 미국 간 상호 투자를 촉진하고 발전시켜 한미동맹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지사는 컨퍼런스에 앞서 피트 리키츠 미 상원의원과 만나 미국 상원에 계류 중인 ‘한국 동반자 법안(Partner with Korea Act)’에 대한 협력을 요청했다.
김 지사는 “최근 조지아에서 한국 노동자들이 대규모로 구금되는 사태가 있었는데 이런 일은 미국 경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한국 동반자 법안이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있는 만큼 법안의 상원 통과에 관심을 부탁한다”고 전했다.
이에 미키츠 미 상원의원은 “의사, 간호사 등 고숙련 인력의 이민을 지원하는 법안을 적극 도입하고 지지해왔다”며 “해당 법안도 관심 있게 잘 살펴보겠다”고 화답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