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교통위윈회 전용기(민주·화성정) 의원은 올해 국감에서 청년 의원으로서의 젊은 패기를 보여주며 촌철살인과 같은 송곳 질문으로 존재감을 입증했다.
경기도민들의 교통 현안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고 나아가 지역 주민들의 교통권 보장을 위한 행보를 이어가는 모습을 보여 민생국감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상임위 국감 첫날이었던 지난 13일 국토부 국감에서 윤석열 전 정권의 경기 남북부 지역 2층 전기버스 예산 삭감을 지적하며 국고보조가 정상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 남북부는 (1층) 광역버스 공급을 확대하는 것으로는 교통정체 해결에 물리적 한계가 있어 2층 전기버스가 개발됐지만 윤 전 정권에서 2층 버스에 대한 국토부 보조금을 대폭 삭감했다”며 “전 정권이 삭감한 예산을 이전 수준이나 그 이상으로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또한 자신의 지역구인 화성특례시 택시 부족 현상을 짚으며 해결법을 제시했다.
그는 “택시 사업 구간은 기초자치단체 기준으로 편성된다”며 “화성의 경우 오산과 행정구역상의 분리는 돼 있으나 생활이 겹친다는 이유로 통합 사업 구역으로 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택시 총량제의 산정과 분배 역시 택시 사업 구역 단위로 이뤄지고 있는데 만약 100대를 배분받았다고 하면 의례적으로 오산시에서 30%를 요구한다”며 “택시가 부족한 지자체는 그냥 눈 뜨고 당하는 것이다. 정말로 비합리적이다”라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절차가 필요하고 인구 100만 특례시도 대도시처럼 단일 사업 구역으로 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제언했다.
지난 21일 한국철도공사에 대한 국감에서는 “동탄역에 설치돼 있는 GTX-A 수서-평택 구간이 15분 이상 대기하는 경우는 30% 이상, 30분 넘어가는 경우도 5%나 된다”며 “실효성이 의심될 만큼 배차간격이 길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GTX-A의 배차간격을 정상화하고 시민들의 편의를 증진시키려면 GTX-A가 SRT와 수서-평택 고속선로를 같이 쓰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2복선화가 돼야만 해결 될 것이다. SRT와 분명히 분리를 시켜야 된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한주희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