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서구 청라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벤츠 전기차 화재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지금껏 단 한푼의 피해 보상도 받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특히 서구청 등은 아파트 입주민들의 대규모 피해 사건을 인지하고도 업계와 개인간의 문제로만 해석, 갈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청라 아파트 주민들로 꾸려진 피해대책위원회는 지난 14일 오전 10시 30분쯤 중구 영종도 정부함동청사 인근 파라다이스시트 스튜디오 앞에서 집회를 열고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책위는 “화재피해를 입은 지 1년여가 지났지만 피해 보상은커녕 출퇴근 용으로 받은 차량도 빼앗아 가려고 한다”며 “그동안 보상안을 두고 해결해 주겠지하며 참아왔는데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는 생각에 길거리로 나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불타는 벤츠 전기차, 침묵하는 벤츠’, ‘책임 회피 말고 피해 보상하라’ 등의 현수막을 들고 청사 인근 칼레니우스 행사장으로 몰려와 벤츠 사의 피해 보상책 마련을 요구했다. 또 행사장 앞으로 벤츠사가 대여해 준 차량을 세운 뒤 달걀과 밀라구 등을 던지기도 했다.
최운곤 대책위원장은 “갑작스런 화재로 주민들의 차량들이 불에 타 이동권을 잃어 벤츠사로부터 차 대여를 받았지만 1년 임대라 곧 반납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며 “일부 주민들은 차량을 분손 매각해 차량 보상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앞서 당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세워둔 전기차 화재로 전손 피해를 입은 차량은 87대에 달하며, 부분 파손한 차량까지 더하면 783대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주차장 지하 설비 및 배관 등도 녹아 정전과 단수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벤츠사는 당시 차량이 전손된 주민들에게 자사 차량을 1년 동안 대여해 주고, 인도적 차원에서 45억 원을 지원했다. 최근에도 15억 원을 추가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지원금이 ‘아이들과 미래재단’이란 기관을 통해 지원되면서 1년이 지난 최근까지 피해 가구를 대상으로 별다른 지원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 이뿐만이 아니다. 아파트 시설에도 상당한 피해가 발생하면서 대부분의 지원금이 수리하는 데 사용됐다.
최 위원장은 “벤츠사가 기부한 기부금은 아파트 화재보험에서 보상하지 않는 분야에 대부분이 쓰이고 있는 실정”이라며 “일상회복지원금 등 주민 차원의 피해보상은 꿈도 꾸기 어려운 실정이다”고 한숨을 쉬었다.
집회에 참여한 이재호(45)씨는 “차량 화재가 발생한 지점은 전기차가 혼자 있던 곳으로 인근에 전기차 충전소 등도 있지 않았다”며 “이 때문에 사고 원인을 파악할 수 없다고 하는데 사실상 책임 회피나 다를 게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서구청의 외면도 이들의 고충을 더하고 있다. 해당 화재를 두고 사회적 문제가 아닌 업체와 개인 간 문제로 결정되면서 뾰족한 대안이 나오지 못하는 탓이다.
강범석 서구청장이 올해 초 화재 문제 해결을 위해 벤츠사를 찾아 임원진 등을 만났지만 화재 원인이 불분명하면서 별다른 대안은 나오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댜.
구 관계자는 “벤츠사와 화재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피해 보상 절충안을 놓고 공공의 문제가 아닌 개인적 문제기에 어떤 대안도 마련하지 않는 중”이라며 “향후에 있을 지원 계획도 세우지 않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현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