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계양구 한 건물이 붕괴 우려에도 수년 째 방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선 지자체도 이 같은 상황을 알지만 민간 사업장이라는 이유로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다.
26일 오전 10시쯤 인천 계양구 계산동 나드리프라자. 건물 외벽 곳곳에서 실선으로 금이 가있고 곳곳이 부식돼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건물 내부로 들어가기 위한 계단도 상당부분 깨져 있어 자칫 미끄러질 우려까지 있었다.
1층 로비 인근으로 폐가구들이 버려져 방치돼 있고, 사우나 등이 있는 지하는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불빛이 들지 않아 안전사고도 우려됐다. 지하실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과거 운영됐던 사우나 등이 철거된 상황에서 집기들 상당수가 버려진 채 방치돼 있어 우범지역이 될 우려가 있었다.
인근에 거주하는 40대 여성 A씨는 “건물도 노후화됐고 관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정문 너머로 로비가 보이는데 폐건물이나 다를 바가 없어 무섭다”고 말했다.
외적인 모습으로도 주민들에게 불편함을 제공하는데, 내부 상황은 더 심각하다.
1층 로비에 진입하자 사람들이 이용하는 건물이라고 믿기에 어려울 정도로 버려진 가구와 물건들이 방치돼 있었다.
나드리프라자는 지난 1991년 개장했으나 5개월 만에 1차 부도가 나며 위기를 맞았다. 이후 새 업체를 인수했지만 물품대금 등의 문제로 다시 부도가 났다. 이 과정에서 건물 지분을 가진 소유주가 400여 명에 달하게 됐고, 이로 인해 건물 관리가 어려워진 것으로 알려졌다.
나드리프라자에 대한 안전문제는 그동안 꾸준히 지역사회 문제로 제기돼 왔다.
조양희 계양구의원(더불어민주당·다선거구)은 "민간소유라는 이유로 행정 개입에 한계가 있다는 점은 인정한다”면서도 “주민들이 느끼는 불안과 위험은 단 하루도 멈춘 적이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가 직접 나서기 어려운 만큼 법안 발의 등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불편함을 해소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는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채로 방치되는 건물들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정비를 추진하기 어려운 건물들은 정비법 등의 개정을 통해 문제 해결의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건물이 낙후돼 있어 위험하다는 것은 알지만 민간건물이다보니 직접적인 관리가 쉽지 않다"며 "부도로 여러 소유주가 법적으로도 엮여 있어 여러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현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