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1년 겨울 1천여명의 승객을 태운 여객선이 미국 샌프란시스코 해안에 좌초됐다. 그리고 곧바로 난민이 발생했다.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는 난민들을 위해 구세군 여사관 조지프 맥피(Joseph McFee)가 나섰다. 오클랜드 부둣가에 큰 쇠솥을 걸어놓고 모금 활동에 나선 것이다. 그리고 쇠솥에 이런 구호를 써 붙였다. ‘이 국솥을 끓게 합시다’
그러자 지나던 사람들이 하나둘씩 돈을 넣기 시작했다. 자선냄비는 이렇게 탄생했다. 이후 전세계로 퍼져, 붉은 세 다리 냄비걸이와 냄비 모양의 모금통, 제복을 입은 구세군 사관의 딸랑 종소리로 상징되는 ‘자선냄비’ 는 매년 연말이면 이웃사랑을 위한 모금 운동의 중심이 되고 있다. 현재 세계 100여개국에서 성탄을 전후해 빨간 냄비와 딸랑거리는 종소리로 이웃 사랑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있다.
연말 자선남비를 운영하는 구세군은 1865년 영국 런던에서 창립된 기독교의 한 교파다. 감리교 목사 윌리엄 부스가 기독선교회를 만든 뒤 1878년 조직을 군대식으로 바꾸었다. 세계 118개국에 교회 1만5000여곳, 교인 150여만명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선냄비가 처음 등장한 건 1928년이다. 일제강점기 시절 흉년과 수해가 겹쳐 헐벗고 굶주리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스웨덴 출신 구세군 정령 조셉 바아(박준섭)가 서울 명동 종로 등 20여 곳에 자선냄비를 내걸고 모금을 시작했다. 그러다 일제의 탄압으로 중단되기도 했으며 전쟁이후 1954년 12월 광화문에 다시 등장했다. 그렇게 모은 돈으로 끼니를 거른 사람들에게 밥과 국을 먹이고 옷도 나눠주는등 구호활동을 했다.
자선냄비는 올해도 경기 인천지역을 비롯 전국 300여곳에 걸렸다. 그런 냄비에는 현재 코흘리개 어린아이 성금부터 반지나 목걸이 같은 귀금속, 채권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성금이 담기고 있다.
그런 가운데 엊그제 서울 명동에서 신원을 알수 없는 한 시민이 1억원 짜리 수표를 기부 했고 4년째 계속하고 있는 동일인으로 밝혀져 화제다. 익명의 기부자는 ‘새해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행복하고 건강하고 많은 발전이 있었으면 한다’는 내용의 쪽지만 남겼다고 한다. 세밑 도움이 꼭 필요한 이웃에 크든 작든 정성을 나눠주는 이들의 실천을 보며 나 자신이 한없이 부끄럽게 느껴진다. 12월 31일까지 모금한다고 하니 지금이라도 망설이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하며.
/정준성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