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4 (화)

  • 맑음동두천 2.5℃
  • 맑음강릉 7.3℃
  • 맑음서울 4.7℃
  • 맑음대전 6.2℃
  • 맑음대구 7.1℃
  • 맑음울산 7.9℃
  • 맑음광주 8.0℃
  • 맑음부산 10.0℃
  • 맑음고창 6.7℃
  • 구름많음제주 10.0℃
  • 맑음강화 1.7℃
  • 맑음보은 4.1℃
  • 맑음금산 6.2℃
  • 맑음강진군 8.6℃
  • 맑음경주시 7.8℃
  • 맑음거제 6.7℃
기상청 제공
우리나라에서 한지(韓紙)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구체적인 증거는 없다. 다만 지리적으로 중국과 인접해 있어 고대부터 문물교류를 통해 중국의 제지기술이 유입되었고 그것을 활용, 한지를 만들었다는 게 일반적 견해다. 4세기경 불교의 전래와 함께 도입되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한지의 불교전래설은 610년(영양왕 32) 고구려의 승려 담징(曇徵)이 일본으로 종이 기술을 전수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신빙성을 더해준다.

한지를 누가 언제 어떻게 만들었는지 역사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도 있다.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국보 무구정광대다라니경(704년 추정)과 755년(경덕왕 14)에 제작된 대방광불화엄경이 그것이다. 특히, 대방광불화엄경 발문에는 종이 만드는 기술과 제작처의 지명 그리고 만든 사람의 이름이 적혀있다.

한지의 수요가 급증한 때는 목판과 금속활자 인쇄술이 발전한 고려시대로, 팔만 대장경조판과 각종 서적의 간행에 따른 종이의 수요가 확대되자 농가에서 닥나무 재배를 권장하기도 했다. 한지의 르네상스는 15∼16세기이다. 이 시기는 고려시대 이래 지속되어 온 지소와 조지부곡이 폐지되고 관영제지소인 조지소가 1415년(태종 15) 설립되어 제지생산을 국가가 주도할 정도였다. 이시기엔 닥나무 생산을 확대하려는 노력뿐만 아니라 부족한 닥나무 대신 쑥대·밀·보릿짚,대껍질,버드나무등을 혼용지료로 활용하기도 했다.

한지의 우수성은 그동안 물리ㆍ화학적 실험을 통해 이미 증명된바 있다. 옆으로 찢었을 때 견디는 힘과 위아래로 잡아당겼을 때 버티는 힘이 타 종이에 비해 월등하고 특히 종이 성질이 중성을 띤다는 사실 등이 그것이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해서 평가할 때 내구성이 뛰어나다고 평 하는데 한지는 종이중 최고 라는것. ‘종이는 천년이요 비단은 오백(紙千年絹五百)’, 이라는 옛말도 한지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런 한지의 우수성이 최근 해외에서 과학적으로 증명됐다고 한다. 이탈리아 연구기관이 직접 한지를 실험한 결과, 8천 년에 이르는 걸로 나타났다고 하는데 이는 일본의 화지(和紙) 내구성 1750년보다 4배가 넘는 것이다. 선조들의 유산이 자랑스럽다. /정준성 주필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