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3일 내년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한나라당 후보 경선 절차 방식을 현행대로 유지키로 했다.
한나라당 당헌·당규 개정특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에서 투표하는 당원과 일반인 비율을 현행대로 유지키로 했다. 이에 시·도지사와 대통령 후보 경선 선거인단 비율은 대의원 20%, 일반당원 30%, 국민선거인단 30%, 여론조사 20%를 유지키로 했다.
당초 친이 특위위원들은 당원 비중을 높이고 일반인 비중을 줄이자는 의견을 제시했으나 당내 계파 간 갈등이 확산된다는 이유로 특위는 현행 유지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지난 대선 경선 때에는 친이계가 일반인 비중을 늘리자고 주장한 것에 비하면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 대선 경선 때에는 친이계가 당을 제대로 장악하지 못했기에 일반인 비중을 닐리자고 주장한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당을 제대로 장악했다 판단해 일반인 비중을 줄이고 당원 비중을 늘리자고 한 것. 반면 대선 경선 당시 일반인 비중을 줄이고 당원 비중을 늘리자고 주장했던 친박계는 일반인 비중을 늘리고 당원 비중을 줄이자고 주장했다.
이에 결국 현행 당헌·당규대로 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현행 당헌·당규대로 경선을 치르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지도가 높은 현역 단체장의 프리미엄이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당협위원장인 국회의원들의 입김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특위는 대선 후보 경선시 해외동포도 참여할 수 있게 해 향후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해외동포의 표심 향배가 적지 않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참여 비율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뒀다. 특위의 당내 후보 선출에 해외동포를 참여시키는 결정은 2월 국회에서 재외국민 투표법안이 개정됨에 따라 240만명에 이르는 재외동포들이 2012년 대선부터 투표할 수 있게 된 현실을 반영했다.
이 밖에 특위는 당론을 채택할 경우 반드시 표결 절차를 거치도록 해 소속 의원들의 자율권을 보장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