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4대강 살리기 예산 삭감 여부를 놓고 극한 대치를 벌이는 가운데 ‘대통령+정몽준+정세균’ 회담의 성사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4대강 살리기 예산 삭감 불가를 외친 반면 민주당은 삭감을 해야 한다고 맞서면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와중에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가 16일 전격적으로 ‘이명박 대통령+정몽준 대표+정세균 대표’의 3자 회담을 제안, 민주당도 이를 받아들여 조만간 3자회담이 성사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내년도 예산안 심의 통과에 파란불이 켜졌다.
정 대표는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오늘은 이명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만나 정국을 해소하는 모임을 가질 것을 다시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상호 민주당 대변인인 이날 브리핑을 통해 “4대강 사업의 최종 결정권자인 이 대통령에게 4대강 문제에 대한 전향적인 입장변화를 촉구하고 국민의 우려를 전달하는 차원에서 동의하기로 했다”며 “이 대통령과 정몽준 대표, 정세균 대표 간 3자 회동 형태를 역으로 제안한다”고 전했다.
더욱이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불요불급한 4대강 예산을 삭감할 용의가 있다고 밝혀 민주당의 주장을 어느 정도 받아들이는 형태를 취했다.
안 원내대표는 “한나라당은 농수산식품위에서 여야가 서로 양보한 것처럼 4대강 예산도 불요불급한 것이 있으면 계수조정소위에서 삭감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즉 민주당이 계수조정소위 구성에 응한다면 4대강 예산 중 일부를 삭감할 용의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이강래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이 한나라당 지도부가 협상에 나서게 촉구해주고 4대강 사업을 국민 뜻대로 하겠다고 입장을 바꿔주면 돌파구가 열릴 것”이라며 “4대강 문제는 토론과 협상을 통해 풀 용의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대통령이 협상할 수 있도록 숨통을 터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작 3자 회담 개최로 이어지기는 쉽지많은 않을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정몽준 대표의 3자회담 제안에 청와대의 반응은 전혀 몰랐다는 반응이다. 더군다나 이 대통령이 코펜하겐 기후변화협약 회의 참석을 해야 하는 입장에서 3자회담 스케줄을 잡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더욱이 여야가 비록 숨통을 틔우는 행보를 하고 있다고 하나 4대강 살리기 예산안을 놓고 근본적인 시각 차이를 보이고 있기에 비록 3자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된다고 해도 서로 입장 차이만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