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최근 기후 온난화, 기상이변, 급식·외식증가 등에 의한 식중독 발생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하절기 식중독 예방 대책에 행정력을 집중한다.
15일 시에 따르면 이번 종합대책은 대책반 구성 및 비상체계 운영 등 기존 추진 대책과 더불어, 올해 개최되는 ‘실내&무도AG’, ‘전국체전’ 등 국제행사가 성공적으로 치러질 수 있도록 식중독 예방관리 등 위생관리에 중점을 둘 방침이다.
그동안 시는 식중독 발생시 신속한 보고체계 구축 및 즉각적인 초등대응을 위한 식중독관리반(11개반 56명) 구성·운영해 주말과 휴무 비상체계로 운영해 왔다.
또한 지역내 991㎡(300평)이상 다중이용시설 뷔페대형음식점 792개소와 행락철을 맞이한 식중독 예방 김밥 및 도시락 판매접객업소 200여 개소에 대한 민·관 합동일제점검을 시행했다.
이와 함께 영업주의 자율관리능력을 배양키 위해 연례반복 위생점검을 개선, 330㎡이상 대형음식점 200여개소 대상 영업자준수사항, 시설기준 등을 업소에서 직접 점검하는 스마트 식품위생자율점검제를 시행중에 있다.
특히 시 위생정책과는 이번 종합대책에서 여름철 발생하기 쉬운 횟집 등에 대한 예방을 위해 ‘식중독예방 진단컨설팅’ 사업을 전개키로 했다.
올해 개최되는 실내&무도AG와 전국체전에 많은 내·외국인 방문이 예상돼 음식업소의 위생관리와 식중독에 대한 영업주의 인식 전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식중독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업소에 대해서는 지도점검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식중독 발생 제로를 목표로 예방과 홍보활동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