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시 산책]허공우물

2013.08.07 20:03:31 20면

허공우물/정수자

부답의 메일 끝에 시 한 편을 건져들고

이명과 대작하듯 제 메아리에 제가 취하는



밤이다

허공 우물에 목을 길게 드리우는



문병마냥 다녀오던 노모의 빈 방께로

어둠도 혼자 고이는 고아 같은 밤이다

마음이 풍덩풍덩 빠지는 폐가의 우물 같은



그리는 그만큼씩 다 별 되는 건 아니라도

부르는 그만큼씩 더 빛나는 건 아니라도



밤이다

되삼키는 이름에 은하강도 붉게 젖는



정수자 시집 <허공우물/천년의 시작 2009년>



 

 

 

시를 쓰는 사람은 많으나 시를 살아내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는 생각을 하며 살다가 <저녁의 뒷모습> <저물녘 길을 떠나다> 등의 시집을 통해 시인을 만나며 시와 사람이 어쩌면 그렇게 닮았을까 싶었다. 어머니 떠나보내고 빈방을 들여다보는 시인의 눈빛이 허공 우물보다 깊다. 어둠도 혼자 고이는 고아 같은 밤 은하강도 붉게 적시던 깊은 우물 같은 마음이 시를 쓰게 했으리라. 오롯이 시만을 살아내는 시인의 그 깊디깊은 속내가 문득 그리운 밤이다. /조길성 시인

 

경기신문 webmaster@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