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경기본부가 해마다 되풀이되는 가뭄에 ‘비 타령’만 하며 주먹구구식 처방만 내놓고 있어 주위의 원성이 높다.
특히 양수장 가설, 관정 개발 등 대부분의 대책은 가뭄피해 발생 후에 나온 것이어서 사후약방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2일 한국농어촌공사 경기본부에 따르면 농어촌공사 파주지사는 가뭄에 대비해 애룡(1), 원당(3), 기산(1) 등 3개 지구에 임시양수장 5곳을 가설해 115만1천㎥의 용수를 확보했다.
또 통일촌에 물을 대기 위해 효촌저수지 바닥물을 끌어 올리고, 간이양수장과 송수관로 3개를 설치해 84만㎥를 공급했다.
하지만 농민 8천여명이 짓는 이 지역 농경지 5천173ha에 필요한 전체 농업용수량(421만㎥)에는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지난달부터 사업비 4억원을 들여 8개의 관정도 개발중이지만 아직 초기단계라 뚜렷한 성과는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어촌공사 경기본부는 또 지난 4월부터 내근직 직원 5명씩 5개반을 편성해 각 지사의 가뭄재해 상황 등을 살피고 있다.
이들은 각 지사의 급수상황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양수기 등 장비 지원을 지역본부에 요청하는 등의 일을 맡고 있다.
현지로 파견돼 해당 지역의 가뭄피해 상황에 따라 대책을 세우는 게 아니라 단순히 장비지원 요청에만 그친다는 얘기다.
농어촌공사는 22일부터 수자원공사의 도움을 얻어 댐의 물을 끌어다 광역상수도 120만t을 공급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여주 이포보에 저류된 용수를 오는 30일까지 매일 450t씩 양평군 어은저수지에 긴급투입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하지만 파주, 양평을 중심으로 한 도내 농경지는 이미 작물 마름현상이 진행된 뒤여서 ‘뒷북행정’이란 지적이 나온다.
한국수자원학회 유철상 홍보이사(고려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가뭄재해는 매년 반복되지만 농어촌공사를 비롯한 관계기관들은 피해가 발생한 후에야 양수장 가설, 관정개발, 긴급반 편성 등 해묵은 대책들만 늘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