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품살포 정황 포착 압수수색
분뇨자원화 시설 등 주요사업
수사 장기화 땐 타격 불가피
최근 수원축협 조합장이 불법선거운동 혐의로 검찰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이에 따른 후폭풍도 만만찮을 전망이다.
특히 축산분뇨 자원화 등 역점사업의 정상추진 여부와 향후 재선거에 따른 사회적 비용과 혼란에 대한 우려가 크다.
1일 수원축협에 따르면 검찰은 지난달 29일 장 모 수원축협조합장이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를 앞두고 조합원 등에게 금품을 살포한 정황을 잡고 조합장실, 개인 사무실, 자택 등을 압수수색해 선거관련 전산파일, 서류, 휴대전화를 확보했다.
장 조합장은 선거 승리를 위해 일부 대의원과 이사 등에게 300만~500만 원의 금품을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이번 검찰수사로 조합 사무실 직원들은 냉기가 느껴질만큼 지나치게 차분한 분위기 속에 업무에 임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수사가 장기화될 경우 장 조합장의 역점사업도 직·간접적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는 감추지 않았다.
수원축협 전략기획팀 관계자는 “검찰수사 대상이 조합이 아닌 조합장 개인이기때문에 직원들의 업무와는 별개의 문제”라면서도 “자칫 검찰수사가 길어지면 분뇨자원화 시설 조성, 사료품질 고급화 등 주요 사업도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장 조합장은 지난 3월 취임일성으로 양돈, 낙농, 한우 등 모든 축산분뇨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약속했다.
사료 품질을 고급화해 가축 비육기간을 31개월에서 29개월까지 줄여 축산농가의 경영비용을 절감하겠다고도 했다.
또 향후 검찰수사 결과에 따라 장 조합장의 불법사실이 확인되면 다시 선거를 치러야 하는 사회적 비용이 유발된다.
조합 규모에 따라 6억~9억이 드는 선거비용과 재선거 과정에서 불거지는 사회적 혼란으로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축협조합원 장 모씨는 “조합장 선거는 매번 말도 많고 탈도 많아 조용히 넘어간 적이 없었지만, 올해 전국동시로 치러진 가운데서도 역시나 불법선거운동으로 시끄럽게 됐다”며 “이번 여파로 조합 사업이나 재선거를 위한 사회적 비용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조합원과 지역주민의 몫이 될 판”이라고 지적했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