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메르스 피해 소상공인과 기업인들에게 모두 2천14억여원의 정책자금이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경기지방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이달 15일 현재 중소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신용보증보험 등을 통해 지역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인에게 총 5천530건 2천14억원의 자금이 지원됐다.
우선 중소기업진흥공단은 피해업체로부터 95건에 94억1천만원을 상담받아 34건 83억원을 신청접수했다.
이중 12건 25억원이 공단의 긴급경영안정자금 지급 심사기준을 통과해 해당업체에 대출자금으로 지원됐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메르스 피해 지원을 위한 소상공인 특별자금으로 3천136건 1천280억원을 지원했다.
전국적으로는 3천794억원(9천82건)이 지원돼, 경기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33%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메르스 최초 발병지인 평택이 73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원(652건), 안산(538건), 성남(378건), 화성(179건) 등의 순이었다.
신용보증보험은 소상공인특별자금 1천7건 273억원을 접수, 이 가운데 135건 30억6천만원을 신청업체에 지원했다.
소상공인특별자금은 전국적으로 1천766건 622억원의 대출이 이뤄져, 전국대비 19.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특례보증을 통해선 신청접수한 3천943건에 818억원 중 관련심사를 거쳐 1천87건 214억원의 자금을 지원했다.
전국에서 이뤄진 지역신보의 특례보증은 8천727건 1천938원이며, 이중 경기지역은 전국대비 11%에 불과했다.
특례보증 규모는 부산이 332억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밖에 경기도는 중소기업 특별경영자금으로 배정된 300억원 중 157억원(58건)을, 소상공인 지원자금 500억원 중 308억원(1천22건)을 피해업체에 각각 지원했다.
이에 대해 경기중기청은 저신용자의 금융권 대출 문턱을 낮추기 위해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경기중소기업청 관계자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메르스 피해 지원을 위해 저신용자의 은행권 대출을 적극 유도하고, 보증심사 절차를 간소화 해 시중은행에서 지역신보로 실사팀을 파견해 처리기간을 단축하는 등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를 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