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사법원은 어디에 설립해야 할지 해사 분쟁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해야 한다.”
김영춘 해양수산부장관은 9일 열린 새얼문화재단 조찬 강연에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이미 국회에 해사법원 설치는 법률로 제출돼 있다”며 ”법안이 통과되고 시행되는 과정에서 법원의 입지 문제도 함께 논의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해양도시 인천에 대해 “인천은 해양수산업이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로, 수도권의 거대 인구를 배후로 갖는 세계적인 해양도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며 “인천을 해양물류와 육상물류를 관통하는 물류 거점도시로 육성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또 해양수산업이 국내 GDP에서 차지하는 규모를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현재 국가 GDP의 10%가량을 해양수산업에서 창출하면서도 오는 2030년에는 이 규모를 14%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며 “우리나라의 해양수산업 규모는 GDP의 6.4%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 “부산, 인천, 평택 등 국내 해양 도시들이 해양수산업과 관련해 “‘파이 나눠 먹기’를 할 것이 아니라 파이 크기를 키워야 한다”며 “해양 도시들이 서로의 역할을 중심으로 비전을 세워 해양수산업을 우리 경제의 견인차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재호기자 sjh45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