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특례시 출범을 앞둔 수원시가 시민과 함께하는 독창적인 문화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 19일 수원문화재단 회의실에서는 법정문화도시 선정과 관련한 국회의원, 시 관계자 등의 간담회가 진행됐다.
이날 김승원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수원갑), 이상수 수원시 문화예술과장, 길영배 수원문화재단 대표이사 등 10여 명의 참석자들은 문화도시 수원의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을 공유하고 발전 전략을 모색했다.
주요 논의사항으로는 ▲전문적이며 종합적인 도시문화 경영체계 구축을 위한 문화도시센터 설립 ▲민관의 협치 체계를 통한 지속 가능한 문화거버넌스 구축 ▲적극적인 행정 지원과 시민 참여 방안 등에 대해 심도 깊은 이야기를 나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12월 문화도시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지정한 제3차 문화도시의 예비사업 대상지 10곳을 발표했다. 문화도시 조성 사업은 장기적 관점에서 지역 스스로 도시의 문화 환경을 기획하고 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포괄적으로 예산을 지원한다.
수원시를 비롯한 서울 영등포구, 인천 서구, 인천 연수구 등 지자체 10곳은 예비사업을 추진해 올해 말 실적 평가를 거쳐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3차 문화도시로 최종 지정받게 된다.
‘제3차 예비문화도시’로 선정된 이후, 수원시는 ‘서로를 살피고 문제에 맞서는 문화도시 수원’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인문 문화도시’를 지향하며 다양한 문화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승원 국회의원은 “자치분권의 상징이 특례시라면, 120만 수원시의 문화분권 시작은 법정문화도시 지정”이라며 “수원만의 독창적인 문화도시 조성을 위해 진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길영배 대표이사는 “법정문화도시 선정을 위해 문화예술단체 등 각계 기관과 유기적으로 협력하겠다”는 각오를 드러냈다.
이달 9일 취임한 길 대표이사는 수원특례시 출범에 발맞춰 수원시가 법정문화도시로 지정될 수 있도록 시민과 함께하며 소임을 다하겠다고 전한 바 있다.
한편 수원시는 지난해 12월 9일 인구 100만 명 이상 대도시에 특례시 명칭을 부여하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2022년 1월 13일 특례시 출범을 앞두고 있다.
[ 경기신문 = 신연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