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을 굴려 목표지점에 놓인 핀을 쓰러뜨리는 볼링. 공의 스핀을 적절히 조절해 목표물에 정확히 공을 보내는 방법으로 접하기 쉬운 스포츠 중 하나다.
볼링은 이런 매력 덕분에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취미로 즐기는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성남시체육회 G-스포츠클럽 볼링 선수단 역시 시작은 취미에서 출발했다.
유영우 선수는 “아버지와 함께 볼링을 처음 시작했다. 자주 가던 볼링장에서 G-스포츠클럽에 대해 말해줘 제대로 배우고자 들어오게 됐다”고 말했다.
최서진 선수 역시 “원래 취미로 볼링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볼링 대회에 출전한 적이 있는데, 그 이후 팀에 들어오게 됐다”고 답했다.

인터뷰에 참여한 유영우, 송수연, 김승준, 최서진, 이우민, 이수아 등 6명의 선수는 목표에 대해 국가대표가 되는 것이라 입을 모았다.
이우민 선수는 “부모님께서 지원해 주시는 만큼 국가대표가 되는 모습을 꼭 보여드리고 싶다”고 이야기했다. 이수아 선수도 “열심히 노력해 지금보다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선수로 거듭나고 싶다. 주변에서 보내주는 응원과 사랑에 보답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인터뷰가 낯선 듯 작은 목소리로 대답했으나, 그들의 목표는 명확했다. 비록 나이는 어리지만 국가대표까지 꿈꿀 만큼 볼링의 매력은 무엇일까.
이에 유영우 선수는 “감독님의 가르침을 받은 후 날마다 성장해가는 것이 느껴진다. 그런 점 때문에 계속하고 있다”고 했다. 송수연 선수는 “핀에 공이 맞았을 때가 좋다. 그때 들리는 소리를 들으면 쾌감이 느껴진다”고 대답했다.

최서진 선수도 “연습을 할 때마다 기록이 갱신되고 있는데, 그런 점에서 성취감이 든다”며 말을 이었다.
잠재력이 무궁무진하지만 현재 그들이 생각하는 자신들의 장점에 대해 묻자, 유영우 선수는 “또래 선수들보다 체격이 큰 점이 장점”이라며 “체격에 따라 컨트롤이 달라지기 때문에 볼링은 체격이 크면 유리한 종목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우민 선수는 “체격이 작지만, 리듬감으로 커버를 하고 있다. 리듬감이 좋아 습득력이 빠른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가을 감독은 “아이들이 욕심도 많고, 목적성이 뚜렷하다. 적극성도 좋아 빨리 배우는 것 같다”며 “볼의 스피드나 회전, 자세를 중점으로 해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닮고 싶은 선수에 대한 물음에는 제각기 다른 대답이 이어졌다. 그 순간만큼은 영락없는 어린아이들의 모습이었다.
선수들마다 다른 장점이 있어 한 명을 꼽기가 힘들다는 유영우 선수부터 컨트롤 능력이 좋은 임가혜 선수를 닮고 싶다는 송수연 선수, 자신과 비슷하게 힘에 강점이 있어 백승자 선수를 본받고 싶다는 김승준 선수 등 각기 다른 이유로 서로 다른 선수를 꼽았다.
성남시체육회 G-스포츠클럽은 시체육회의 지원으로 모든 훈련이 무료로 진행돼 선수들은 훈련에만 집중할 수 있다. 볼링의 경우, 하탑중학교-분당고등학교-성남시청팀으로 이어지는 탄탄한 연계성이 큰 장점이다.
누구나 어린 시절 원대한 꿈을 갖고 있다. 하지만 여러 이유 속에 우린 그 꿈들을 잊어간다. 성남시체육회 G-스포츠클럽 볼링 선수단의 꿈이 계속해서 이어지길 소망한다.
[ 경기신문 = 김도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