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선에서 화재진압에 나서는 소방관들이 각종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 만큼 이들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립소방연구원은 12일 한국산업보건학회와 공동으로 ‘화재 현장에서 발생하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 화재진압 소방공무원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토론회를 개최했다.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은 자연환경에서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돼 면역체계 교란·중추신경계 손상 등을 초래하는 유해 물질이다.
화재 시 그을음에서 나오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와 브롬계 난연제가 이에 속한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부산대학교 오정은 교수는 “화재 현장 출동 차량과 보호복이 다환방향족탄화수소와 브롬계 난연제에 오염돼 있었다”며 “오염 정도도 화재 현장과 인접한 차량일수록 더욱 심각했다”고 말했다.
순천향대학교 이아람 박사는 “화재 현장 대원의 신체에서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높은 농도로 검출됐다”며 “각종 보호장구의 이음새를 통해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침투됐을 가능성이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구동욱 소방연구원장 직무대리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은 인체 내에 장기간 잔류하면서 암과 생식독성 등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위험한 물질”이라며 “현장 활동하면서 건강에 위협받는 일이 없도록 후속 연구와 기술개발 및 보급에도 적극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