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겠다던 ‘경기RE100’…‘투자 비용’ 부담으로 제동

2024.06.27 20:00:00 1면

‘경기햇빛농장 시범모델 구축사업’ 등
태양광 발전시설 관련사업 2개 재모집
지원자 수 미달로 인한 사업일정 지연
원인은 자체 부담금 및 사업 홍보 부족
道 “홍보 통한 참여율 제고에 노력 중”

 

선구자 역할을 강조하던 ‘경기RE100’ 사업이 지원자 부족으로 제동이 걸렸다.

 

참여자 초기 투자를 요하는 장기계획성 사업에 대한 비용 부담으로 도민 참여율도 저조할뿐더러 홍보 부족으로 인해 협업을 주도해야 하는 시공업체도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27일 경기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최근 신재생에너지 관련 추진 사업인 ‘경기햇빛농장 시범모델 구축사업’의 지원자 모집을 재공고했다.

 

경기햇빛농장 구축사업은 농지 상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전기를 생산하면서 하부에는 농작물 경작을 병행해 도내 농민에 농업 외 소득 창출기회를 제공하는 영농형태양광 정책모델이다.

 

농민들은 발전시설을 통한 전기 판매 수익을 보장받고 시공업체는 시공비용 지원과 투자비율에 따른 수익 배분을 통해 이익을 얻어가는 구조다.

 

아울러 발전시설에서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도와 시군이 보조지원 비율만큼(각 40%) 가져감으로써 ‘경기RE100’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는 올해 총예산 2억 원을 투입해 1~2개소 규모로 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으나 지원자가 없어 지난 3월 1차 공고 이후 2차례 추가 모집을 공고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달 같은 이유로 재공고가 올라온 ‘에너지 기회소득 마을 조성’ 사업까지 고려하면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 2개가 지원자 부족으로 제동이 걸린 셈이다.

 

(관련 기사=2024년 5월 9일 1면, 허들 높은 ‘에너지 기회소득 마을’…신청 자격 갖추기도 어려워)

 

에너지 기회소득 마을 조성사업은 도비 20억 원을 투입해 도내 농촌지역 등 에너지 이용 취약지역 마을에 공용 태양광 발전소 설치를 추진, 주민에게 정기 소득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해당 사업도 총 사업 규모의 3분의 2가량이 지원자 미달인 상황으로, 이달 말까지 재모집을 진행 중이다.

 

이같은 참여 미달에 대해 도는 지원자의 초기 투자 비용에 대한 부담과 시공업체·도민을 대상으로 한 사업 홍보가 부족했다는 입장이다.

 

2개 사업은 모두 10인 이상으로 구성된 도내 마을공동체와 시공업체 간 컨소시엄이 지원 대상으로, 다소 복잡한 사업 절차를 시공업체가 마을공동체와 협업을 주도해야 하는데 잘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경기햇빛농장 구축사업의 경우 농민에게는 생업과 직결되는 농경지를 활용해야 하고 초기 투자 비용도 감당해야 한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된다.

 

도 관계자는 “경기햇빛농장 구축사업은 타 시군이나 농식품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비슷한 유형의 사업 대비 5배가량 큰 규모인 500kW를 모델로 잡았다”며 “농민들에게는 이로 인한 사업비 부담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농경지 상부에 발전시설을 설치하면 수확량이 다소 떨어지는 부분에 대한 부담도 작용한 것 같다”면서도 “해당 부분은 발전 사업으로 인한 소득으로 충분히 충당되는데 홍보가 덜 된 부분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도 관계자는 에너지 기회소득 마을 조성 사업과 관련해 “지난해 신규 사업으로 시작해서 아직 홍보 부분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며 “‘에너지 자립마을 사업’에 참여한 시공 기업을 우선 대상으로 홍보를 진행해 시공업체의 참여율을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이근 기자 ]

이근 기자 leekeunzz@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