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부한 해양생태자원을 갖춘 인천시가 국가해양생태공원 지정 경쟁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한 다른 지자체들과 달리 아직 뚜렷한 계획이 드러나지 않고 있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21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해양수산부에 국가해양생태공원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는 해수부가 지난해 10월 전국 17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국가해양생태공원 중기계획 수립을 위한 수요조사를 실시한 데 따른 것이다.
국가해양생태공원은 해양보호구역의 해양자산을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하게 보전·관리하기 위해 지정한다.
정부가 직접 국비를 지원해 공원 조성에 필요한 인프라를 조성하기 때문에 지자체 입장에선 재정 부담을 줄이며 지역 발전과 해양 생태 보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해수부는 제1호 국가해양생태공원 지정을 위해 지난 2022년·2023년 개정된 해양생태계법과 동법 시행령을 바탕으로 지정 절차와 기준 등을 정했다.
이를 토대로 10년간 3단계에 걸쳐 국가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할 방침이다.
우선 1단계로 올해부터 내년까지 대상지를 선정한다.
시는 해양보호구역인 대이작도 주변해역 생태계보전지역, 옹진장봉도갯벌 습지보호지역, 송도갯벌 습지보호지역을 대상지로 염두하고 있다.
대이작도 해양보호구역은 뛰어난 자연경관과 특이한 지형경관을 비롯해 수산생물·저서생물의 주요 서식지로도 유명하다.
옹진장봉도갯벌과 송도갯벌은 저어새·노랑부리백로·검은머리물떼새 등 멸종위기종의 도래·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다만 시는 정확한 위치 등 세부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않고 있다.
해수부가 아직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내놓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 국가해양생태공원 지정·운영을 위한 연구용역 등을 추진 중이다.
그럼에도 다른 지자체들은 대상지 설정부터 종합계획 수립까지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특히 충남도는 세계 5대 갯벌인 가로림만을 제1호 국가해양생태공원으로 지정받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이미 19개 사업이 담긴 종합계획을 수립했으며, 2034년까지 4431억 원을 들여 추진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서·남·동해안 권역별로 국가해양생태공원을 지정할 계획으로 알려졌는데, 이 경우 인천은 서해안에 속하는 가로림만과 경쟁을 펼쳐야 한다.
시가 보다 구체적인 계획 수립과 차별화된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하는 이유다.
시 관계자는 “해수부에서 가이드라인이 나온 게 없어서 정확한 위치까지는 정하지 않았다”며 “해수부로부터 계획을 받은 이후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