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청구한 윤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이 발부됐다.
31일 서울중앙지법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 29일과 30일 윤 전 대통령이 소환 통보에도 불출석하자 체포영장을 청구했다.
특검팀은 오는 8월 1일 오전 9시 체포영장을 집행할 방침이다. 현재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 전 대통령을 체포하기 위해 특검보와 검사, 수사관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홍주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특검은 내일(8월 1일) 오전 9시 특별검사보가 검사, 수사관과 함께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서울구치소를 방문할 예정"이라며 문 특검보가 직접 구치소를 방문해 지휘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체포된다 하더라도 진술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있어 체포 실효성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은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 관련 공천개입 의혹으로 김건희 특검의 수사선상에 올랐다. 그는 2022년 대선 과정에서 명 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받은 대가로 같은 해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공천에 힘을 썼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2021년 10월 국민의힘 경선 토론회에서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개입 의혹에 대해 "한 넉 달 정도 (위탁관리를) 맡겼는데 손실이 났다"는 허위사실을 공표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도 받는다.
한편 이날 서울구치소는 더불어민주당 '3대특검 종합대응 특별위원회' 현장점검을 통해 윤 전 대통령이 건강상 이유로 특검팀 소환에 응하지 않은것에 대해 "수사받지 못할 정도로 크게 건강 상태가 악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이어 "개인적·주관적 증세까지 제가 다 알 수 없기에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다"면서도 "지금 조사라든지 재판에 가고 이런 것에 있어 큰 문제점이 없어 보이긴 한다"고 덪붙였다.
현재까지도 윤 전 대통령은 특검팀에 변호인 선임계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