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23년 8월 문을 연 고양특례시 드론앵커센터가 국내 최대 규모 실내 비행장(1864㎡)과 기업 입주 시설, 드론 연구개발(R&D)·운용성 평가 센터 등을 갖추고 드론 산업 전진기지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특히 전국 10개 도시, 해외 7개국에서 벤치마킹을 위해 방문하는 등 선도적 입지를 다졌고, 25개 전문기업과 업무 협약을 맺어 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있다.
고양시는 드론산업 전담팀을 중심으로 드론 실증도시 지정(2020·2022년), 대덕 드론비행장 조성(2021년), 고양드론앵커센터 조성(2023년) 등 드론 산업의 성장 기반을 다졌다.
여기에 고양드론앵커센터가 개관하면서 드론·UAM(도심항공교통) 산업 생태계 구축이 본격화됐다.
센터는 드론 창업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해 교육부터 연구개발, 실증, 사업화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 역할을 해내고 있다.
고양드론앵커센터에는 드론 관련 7개 기업과 3개 공공기관 등 총 10개 기업(기관)이 입주해 있다.
아쎄따(군사용·산업용 드론), 쿼터니언(비행 제어 시스템·안전 통제 소프트웨어 등 드론 통합 솔루션), 디비에너텍(드론 충전 기술), 시에라베이스(드론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켄코아에비에이션(기체·배터리 등 항공 하드웨어), 파인브이티(양자암호 통신기반 드론), 브이스페이스(국토부 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단) 등 드론·항공모빌리티 분야 업체들이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입주 공공기관으로는 항공안전기술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고양산업진흥원 등이 자리 잡았다.
이런 기술 개발 노력은 성과로 이어져 (주)시에라베이스는 CES2025 최고혁신상을 수상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고, ㈜쿼터니언이 개발한 휴대용 기상관측 장비는 기상청 혁신 제품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또 드론앵커센터는 드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분야별 강좌를 운영 중이다.
공간정보(지적측량), 농업방제, 드론조립, 1인칭 시점(FPV) 드론, 촬영 편집, UAM 특강 등으로 구성돼 교육생 수준별로 진행하고 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고양드론앵커센터는 단순한 산업시설을 넘어 드론 산업의 혁신과 협력을 이끄는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며 “앞으로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첨단 드론산업의 거점이자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으로 발전하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은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