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1일 “경기 RE100은 금년 말에 달성할 수 있다. 경기도는 공유지 내 태양광 설치를 주축으로 적극적인 대책을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청 율곡홀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기후정책 관련 질의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경기도는 지자체 관리권한 온실가스 배출량, 차량보유대수 전국 1위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책임이 크다. 전기차, 수소차 보급실적은 55%밖에 안된다”며 “목표 대비 실적이 부진하다. 원인이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김 지사는 “경기도가 모든 부분에서 대한민국 1등이다. 좋은 것도 1등이고, 나쁜 것도 1등이다. 인구와 산업·경제 구조를 봐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산업·경제 규모만큼) 다른 시도에 비해 월등하게 탄소 배출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위 의원은 “경기도 전기차 구매보조금 소진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보조금 소진 지역은 6곳이고, 올해 6곳에 불과하다. 나머지 지역은 보조금이 집행되지 않은 것. 보조금이 수요에 따라 지급돼야 하는데, 일률적으로 진행된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일리 있다”고 한 뒤 “현재 RE100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니 제안 내용을 감안해 재점검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위 의원은 “기후경제는 탄소감축 방법과 기술개발은 물론 시민참여를 어떤 방식으로 할지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경기도의) 태양광 잠재량은 2.5 기가와트(GW), 용인산단 LNG 복합 발전소가 1GW, 공공부지만 활용해도 2.4GW를 개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김 지사는 “도는 공공부문 RE100을 금년 말에 달성을 할 수 있고 공유지 내 태양광 설치를 주축으로 적극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며 “향후 협의를 통해 공유지뿐 아니라 도내 산단에서 재생에너지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