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의회가 올해 마지막 의사일정에 돌입했다. 한 해의 시정 및 사업을 돌아보며 행정기관의 업무집행 상황, 공공기업체의 고유 업무 등을 파악하는 행정사무감사도 이번 회기 진행된다.
19일 김정렬 수원시의회 부의장(민주, 평·금곡·호매실)은 "이날부터 31일간 열리는 이번 정례회에서는 한 해의 시정 운영을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행정사무감사와 2026년 수원시 살림살이를 결정하는 예산 심사가 진행된다"며 제397회 제2차 정례회 개회를 선포했다.
김 부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대내외 여건이 빠르게 변하면서 복지, 환경, 안전, 미래세대 투자까지 시민을 위한 재정 수요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한정된 재원을 어디에 어떻게 쓰느냐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정례회에서 심사하게 될 2026년도 예산안은 수원의 오늘과 내일을 동시에 책임져야 하는 재정 계획"이라며 "시민 한 분 한 분의 세금이 헛되이 쓰이지 않도록 사업의 필요성과 우선순위를 꼼꼼히 따져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다음 달 19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정례회에서는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2025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2026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등 안건이 처리될 예정이다. 행정사무감사는 오는 20일부터 28일까지 각 상임위원회 소관 부서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기획경제위원회는 영통구청, 도시미래위원회는 장안구청과 영통구청, 보건복지위원회는 권선구청과 장안구청, 환경안전위원회는 팔달구청과 권선구청, 문화체육교육위원회는 화성사업소와 팔달구청을 시작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이날 본회의는 개회식 후 이재준 수원시장의 시정연설로 이어졌다. 이 시장은 2026년도 시정 기조를 지난해에 이어 '시민 체감, 수원 대전환'으로 삼겠다는 목표를 전했다.
그는 "시정의 시민 중심 기본 원칙을 굳건히 하고 모든 정책 사업의 혁신 방향을 시민 체감으로 다시 정립하며 최종 목적인 수원 대전환을 향해 뛰어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원 대전환을 앞당길 시정의 핵심 키워드로 '문화관광', '첨단 과학 연구', '시민의 삶'을 꼽았다. 시를 세계적인 축제의 도시로 발돋움하고 환상형 첨단 과학 혁신클러스터 구상이 하나둘씩 현실화되는 만큼 첨단 과학 연구 도시 수원의 확실한 이정표를 세우면서 모두의 삶이 빛나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올해 시 재정 운용 성과도 발표됐다. 시는 민선 8기 첫해부터 현재까지 약 2300억 원의 지방세를 상환하고 전국 임대용 자동차 등록지를 유치해 매년 300억 원의 세입을 확보했다. 또 VC 반도체 기업의 실적 개선과 법인세율 인상 등이 세수 확보에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성과에 따라 2026년도 본예산 총지출은 올해 대비 10.3% 증가한 3조 5190억 원으로 책정됐다.
이 시장은 "시장 임기 첫날 취임식을 미루고 현장을 찾았더니 두 손을 잡아주던 어르신들의 온기와 새빛만남을 통해 만났던 아이들의 눈을 기억한다"며 "시민의 삶을 최우선으로 잘 사는 도시, 살고 싶은 도시, 오고 싶은 도시 수원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