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을 목전에 두고 물리적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막판 고심을 이어가고 있다.
13일 공수처 관계자는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준비 상황에 대해 "집행 계획을 더 세밀하게 짜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공수처는 경찰 국가수사본부와 구체적인 체포영장 집행 시점과 방법, 인력 투입 방안 등을 계속 협의하고 있다.
경호처 내부에선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하면 안 된다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럼에도 경호처가 강경 저지에 나선다면 체포영장을 집행하는 경찰 등과 충돌이 생길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공수처는 전날인 12일 경호처와 국방부에 체포영장 집행에 협조해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이를 두고 영장 집행 과정에서 유혈충돌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면 안 된다는 고심의 결과물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해당 공문에는 '민·형사상 책임, 공무원 연금 수령 제한 등 불이익이 따를 수 있다'는 경고성 내용 등이 담겼다.
공문은 처장 직무대행인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아닌 경호본부, 경비안전본부, 경호지원본부, 기획관리실, 감사관실, 경호안전교육원 등 6개 부서장에게 직접 보냈다. 이를 두고 경호처 간부들 사이에서 체포영장 집행에 이견이 나뉘는 틈을 타 '단일대오'를 흐트러뜨리기 위함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아울러 경호처 직원들에게도 별도의 메시지를 발신해 지휘부와 일선 직원, 지휘부 사이를 나눠 공략하는 방식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공수처는 구체적인 2차 체포영장 집행 시기와 방법 등 계획은 밝히지 않은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공수처가 경찰의 출석 요구에 세 차례 불응한 김성훈 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 등의 체포영장 신청 및 발부 상황을 지켜본 뒤 윤 대통령에 대한 2차 체포영장 집행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